전산직

- 칼럼공무원전산직 낮은 경쟁률! 합격 노리는 법!
- 전산개발팀이면 행정업무의 전산화를 위한 계획을 세우고 전산화업무를 분석, 설계 그리고 프로그램의 작성 및 유지 계산조직에 의한 자료를 처리하는 등의 업무와 전산요원의 교육훈련 등에관한 업무를 맡고 있는 공무원입니다. 정보보호팀이면 보보안위험 동향을 분석하고 대응방안마련 보안관제센터 수축 및 운영,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정책과 방안 그리고 기술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조치 업무를 담당합니다. 보통 전산실이나 전보통계과에서 근무하는 공무원전산직은 지방자치단체냐 교육청이나 통계청의 소속이냐에따라 근무하는 곳이 달라집니다. 크게 나누면 전산개발과 정보보호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국가직과 지방직이 있으며 특채시험으로는 6~9급 공무원이됩니다. 시행주관처가 각각 행정안전부, 교육청과 시청, 경찰청, 산림청, 고용노동부 등의 각 행정청 외로 구분됩니다. 국가직과 지방직시험이 다른 날에 치기때문에 원한다면 두분야 시험에 응시할 수 있어서 일년에 두번의 기회가 있는셈입니다. 오늘은 9급을 기준으로 공무원전산직 이야기를 이어나가보겠습니다. 9급공무원전산직은 직렬별로 시험과목이 다릅니다. 전산개발과 정보보호 공통 과목은 국어, 영어, 한국사이며 전산개발은 추가로 컴퓨터일반, 정보보호론 정보보호직렬은 네트워크보안, 정보시스템보안 추가과목이 있습니다. 필기시험을 치고 2차시험으로 면접시험이 있습니다. 서울시의 경우는 2차에서 인적성검사와 구술면접을 동시에 치룹니다. 전산직공무원시험의 특징으로는 타 직렬과는 달리 선택과목이 없이 5가지가 지정되어있고 조정점수제도가 없어서 5과목 원점수의 합계인 총점이 높은 순으로 합격을 하기때문에 고득점 점수를 목표로 공부를해야합니다. 이 부분의 강점은 부족한 과목은 자신이 자신있는 과목에서 채워넣을 수 있기때문에 주력과목을 두어 공부하기에 용이합니다. 2020년의 공무원전산직경쟁률을 보면 <전산개발> 일반 27.9:1
- 에듀채널 | 2021-12-09 08:56:02

- 칼럼전산직인강 9급 공채 200일만에 완성하자!
- 단 200일만에 필기부터 면접까지 준비하여 전산직공무원에 합격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인터넷강의가 있습니다. 인강을 소개하기에 앞서 전산직공무원이 무엇인지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공무원은 다들 아시는것처럼 평생직장의 대표직업입니다. 주거안정에 대한 혜택과 연금부분이 남부럽지않게 받을 수 있기에 다들 한번쯤 꿈꾸는 직업이지요. 공무원에서도 수많은 직렬 중에 기술직공무원에 해당하는 전산직공무원은 전산실 등 근무하는 공무원입니다. 주의해야할 점은 전산직은 해당 자격증을 소유한 분에 한해 응시자격이 주어집니다. 전산직공무원은 전산개발과 정보보호 두가지로 또 분류가 되면서 직렬별로 업무가 상이합니다. 전산개발 업무1. 행정업무의 전산화를 위한 계획 수립 및 조정2. 전산화 업무의 분석, 설계 및 프로그램의 작성, 유지3. 전자계산조직에 의한 자료의 처리보관 운용4. 전산요원의 교육훈련등에 관한 업무 정보보호 업무1. 정보보호 정책 수립 및 시행, 관련법령 지침 및제개정, 정보보호 실태점검, 정보시스템 보안성 검토,보안위험 동향 분석 및 대응방안 마련, 보안관제센터 구축 및 운영,교육계획 수립등의 업무2.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계획수립, 개인정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관리적 기술적 보호조치업무 전산직공무원은 이례적으로 공채시험의 주관사가 각각 행정안전부와 각 시도 교육처의 두가지로 나누어지는 직렬입니다. 행정안전부가 주관하는 시험이 대부분이 알고 있는 7,9급 국가직이며 교육청에서 주관하는 시험은 9급 지방직시험에 해당합니다. 국가직과 지방직의 시험은 각각 다른 날에 시험을 치기때문에 두 곳 모두 응시가 가능합니다. 9급전산직공무원을 생각하고 계신 분들을 위한 단기간 공무원시험 합격을 목표로 한 인강을 소개시켜드릴게요. 전산직공무원시험의 경우 타 직렬과는 다르게 선택과목없이 모두 필수과목으로 진행하여 국어, 영어, 한국사, 컴퓨터일반, 정보보호론 시험과목을 준비해야합니다. 이 과목들에 대한 점수를 측정할때 조정점수제도가 없기에 5과목 원점수의 합계인 총점이 높은 순으로 합격이 되기때문에 점수에 대해 확실하게 안고있어야합니다. 조정점수제도가 없는 것이 무슨 의미냐면 5과목 중에서 한두개정도의 과목이 약하더라도 주력과목으로 총점을 보완할 수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점은 아무리 약한 과목이라고하더라도 40점 이하를 받는다면 과락으로 불합격입니다. 전산직인강으로 자신의 취약과목도 40점 이상은 반드시 가져가고 주력과목으로 점수를 꽉꽉 채워넣어 전산직공무원합격에 당당히 입성할 수 있도록 전산전문 강사님들이 자신의 과목마다 출중한 강의실력으로 전달력 높은 수업을 진행합니다. 수업을 들으면서 수험생이 챙기면 좋을 것들을 모은 혜택을 받으면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전산직인강에서 도움을 드리고자합니다. 가격은 줄이고 구성은 늘린 착한 전산직인강입니다. 수강과목은 시험에 나오는 과목 모두 수업을 받을 수 있고 과목마다 기출문제와 모의고사 등의 다양한 문제들과 해설을 차근차근 진행하여 탄탄히 기반을 쌓아 실력을 다잡아갈수 있는 학습 커리큘럼입니다. 전산직인강으로 본격 수강에 앞서 강사별 샘플강의를 통해 학습내용과 앞으로의 수업진행계획을 들
- 에듀채널 | 2021-09-22 08:45:10

- 칼럼전산직공무원 2021년 시험 거뜬하게 준비!
- 요즘 점점 안정적으로 근무하고자 하는 분들이 늘어나면서 공무원을 준비하는 분들도 늘어나고있다고합니다. 오늘은 그 중 전산직공무원에 대해 알아보고, 2021년 시험을 대비하는 방법도 체크해보도록 하겠습니다!우선, 전산직공무원을 알아볼까요? 전산직공무원은 보통 전산실이나 정보통계과 등에서 근무하는 공무원입니다. 지방자치단체에서 뽑은 공무원전산직은 시청에서 근무, 교육청이나 통계청 등 특정분야에서 뽑은 공무원전산직은 해당청의 전산실에서 근무하게됩니다. 전산직공무원의 종류는 전산개발, 정보보호 직렬로 구분되어집니다. 전산직공무원은 안에서도 전산개발, 정보보호로 직렬이 나뉘는데 직렬에 따라 하는 업무에도 차이가 있습니다.전산개발은 행정업무의 전산화를 위한 계획의 수립, 조정 / 전산화 업무의 분석, 설계 및 프로그램의 작성, 유지 / 전자계산조직에 의한 자료의 처리 보관 운용 / 전산요원의 교육훈련 등에 관한 업무입니다.정보보호는 정보보호 정책 수립 및 시행, 관련법령 지침 및 제개정, 정보보호 실태점검, 정보시스템 보안성 검토, 보안위혐 동향 분석 및 대응방안 마련, 보안관제센터 구축 및 운영, 교육 계획 수립 등의 업무 /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정책, 계획수립, 개인정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관리적 · 기술적 보호조치 업무를 수행합니다.9급전산직공무원 시험과목을 알아보겠습니다. 전사개발은 국어, 영어, 한국사, 컴퓨터일반, 정보보호론이고 정보보호는 국어, 영어, 한국사, 네트워크보안, 정보시스템 보안 과목을 시험치게됩니다. 시험은 국가직, 지방직, 서울시로 나뉘는데 4지선다형 객관식으로 문제가 출제되고, 각 20문항인것은 동일합니다. 다만 국가직과 지방직은 1차 필기시험, 2차 구술면접인데 서울시의 경우 2차 시험은 인적성검사, 구술면접입니다.전산직 공무원 시험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자격증 중 1개 이상을 소지해야 응시가 가능합니다. 기술사는 컴퓨터 시스템 운용기술사, 정보통신기술사, 정보관리 기술사 / 기사는 전자계산기사, 정보통신기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 정보보안 / 산업기사는 전자계산기제어 ,정보통신, 사무자동화, 정보처리, 정보보안 / 기타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제작 전문가 입니다. 9급 전산직공무원은 경력 제한없이 만 18세 이상이면 시험에 응시할 수있습니다. 국가직, 서울시는 거주지 (주민등록상 주소지) 제한이 없어서 전국적에서 시험에 응시가 가능하나 지방직은 관련 제한에 충족하는 사항이 있어야 시험을 치를 수있습니다. 1. 당해년도 1월 1일 이전부터 최종 면접시험일까지 해당지역에 주민등록상 주소지를 갖고 있는 사람 2. 당해년도 1월 1일 이전까지, 해당 지역에 주민등록사 주소지를 두고 있었던 기간을 모두 합산하여 3년 이상인 사람 (과거 거주사실의 합산은 연속하지 않더라도 거주한 기간을 월 단위로 계
- 에듀채널 | 2021-05-05 04:32:46
11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