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산업기사

- 2023년도 산업안전산업기사 제3회 필기 응시자와 합격률은?
- 산업안전산업기사는 산업재해예방계획의 수립에 관한 사항을 수행하며 작업환경의 점검 및 개선에 관한 사항, 근로자의 안전교육 및 훈련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는 전문가로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시험을 통해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시험은 1차 필기와 2차 실기로 시행되며, 연 3회로 2023년도 정기기사 1회와 2회, 3회에 각각 실시가 된다.제1회 필기의 경우 시험일은 2/13~3/15까지로 접수 기간은 1/10~1/19였고, 실기 시험은 4/22~5/7까지로 필답형은 4/23에 실시, 접수는 3/28~3/31까지였으며 제2회 필기 시험일은 5/13~6/4, 접수 기간은 4/17~4/20, 실기 시험은 7/22~8/6이며 필답형은 7/22에 실시가 되었고, 접수 기간은 6/27~6/30까지였다. 제3회 필기 시험일은 7/8~7/23까지며 접수는 6/19~6/22, 실기 시험일은 10/7~10/20, 필답형은 10/7에 시행이 될 예정이며 접수 기간은 9/4~9/7까지이다.2023년도에 시행된 결과를 확인해보면, 제1회 필기 합격률은 52%, 실기 합격률은 43%였고 제2회에 시행된 필기 합격률은 43%, 실기 합격률은 54%였다. 제3회 시행된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의 경우 19,816명 중에서 12,594명이 응시하여 4,846명이 합격하였고 합격률은 38%로 상대적으로 1차와 2차 합격률에 비해 낮은 편이다.
- 김문성 기자 | 2023-09-06 11:55:14

- 산업안전산업기사 응시자격으로 인정되는 관련학과는?
- 산업안전산업기사 응시자격은 크게 3가지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는 기술 자격증 소지자로 동일 혹은 유사분야 종목에서 산업기사 자격증을 취득한 자가 해당한다. 만약 하위 자격증인 기능사를 취득했다면, 1년 이상 실무 경력이 추가로 필요하다. 동일종목의 외국자격증 취득자나 기능경기대회 입상자도 이에 해당 한다. 두 번째로는, 관련학과 전공자로. 전문대학 이상의 학교에 개설된 관련 학과를 전공하여 졸업한 자 혹은 졸업예정자가 모두 해당한다. 2,3년제 전문대와 4년제 대학 모두 인정되며 산업기사 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자도 전공자로 인정된다. 세 번째는, 경력자로 관련분야 자격증이 없거나 비전공자여도 동일 직무분야에서 2년 이상의 경력이 있으면 인정된다.산업안전산업기사 응시자격 관련학과는 산업안전과, 산업안전관리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학과들이 인정된다.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보건․의료 중 보건․의료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건설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광업자원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기계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재료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화학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섬유·의복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전기·전자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정보통신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식품가공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인쇄·목재·가구·공예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농림어업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안전관리 중 안전관리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환경·에너지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가 모두 해당한다.이 중에서 한 분야에 해당하는 학과만으로도 굉장히 다양한 학과들이 있다. '건설'분야와 관련된 학과에는 세부적으로 '건축, 토목, 조경, 도시·교통, 광해방지' 학과들이 있으며, '광업자원'의 경우 '채광, 광해방지', '기계분야' 학과의 경우 '기계제작, 기계장비 설비·설치, 철도, 조선, 항공, 자동차, 금형·공작 기계' 학과들이 모두 해당한다. '재료분야' 학과들에는 '금속·재료, 단조·주조, 용접, 도장·도금', '화학직무 분야'에는 '화공, 위험물'이, '정보통신'분야에서는 '정보기술, 방송·무선, 통신', '식품가공' 분야에서는 '식품, 제과·제빵', '농림어업'분야에서는 '농업, 축산, 임업, 어업', '안전관리 분야'에서는 '안전관리, 비파괴검사', '환경·에너지' 분야에서는 '환경, 에너지·기상'에 해당하는 학과들이 모두 인정된다.
- 현경선 기자 | 2023-09-06 10:23:33

- 2024년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 시험과목 개편 후, 시험 시간은?
- 산업안전산업기사 시험은 필기와 실기로 시행이 되며, NCS기반 자격개편에 따라서 2024년부터 필기 시험 과목이 변경된다. 기존의 시험과목은 ① 산업안전관리론, ②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③ 기계위험방지기술, ④ 전기 및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⑤ 건설안전기술이며 변경 이후 시험과목은 ① 산업재해 예방 및 안전보건교육, ② 인간공학 및 위험성 평가 관리, ③ 기계·기구 및 설비 안전관리, ④ 전기 및 화학설비 안전 관리, ⑤ 건설공사 안전 관리이다.시험과목은 그대로 5과목이기 때문에 문항 수와 시험 시간은 기존과 동일하다. 과목당 20문제씩 총 100문항이 출제되며, 과목당 30분씩으로 시험 시간은 2시간 30분이다. CBT방식으로 시험 시간을 선택할 수 있으며, 시험장마다 운영 시간이 다르다. 실기 시험은 개편사항없이 '산업안전실무' 과목으로 필답형과 작업형이 모두 실시된다. 2024년도 산업안전산업기사 시험일정은 연말에 발표되는 큐넷 공고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산업안전산업기사 시험은 절대평가이며, 필기에서는 과목당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전체 평균이 60점 이상 되고 과목별 점수는 40점 이상 되어야 한다. 실기 시험의 배점은 필답형이 55점, 작업형이 45점이며 총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받아야 한다.
- 한지영 기자 | 2023-09-06 08:51:53

- 산업안전산업기사 시험의 합격률 추이는?
- 산업안전산업기사 자격증은 시험을 통해 취득할 수 있다. 매년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산업안전산업기사'에 합격 해야 하며 자격증 시험은 필기와 실기로 시행된다. 필기 시험은 객관식 4지 선다형의 방식으로, 실기는 복합형으로 시행된다. 필기는 객관식 4지 선다형이며 시험과목은 '산업안전관리론,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기계위험방지기술, 전기 및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건설안전기술'이며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과목당 40점 이상이 되고 전 과목 평균이 60점 이상 되어야 한다.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는 '산업안전 실무' 과목으로 필답형과 작업형이 모두 실시된다. 필답형 배점은 55점, 작업형은 45점으로 총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받아야 한다. 실기 시험의 난이도는 합격률을 통해서 알 수 있다. 2018~2022년까지 5년간의 합격률 추이를 살펴보면 '48.9%, 47.8%, 34.2%, 43%, 43.8%'로 평균 43%로 40% 초반의 합격률이다. 합격률은 회차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다. 2022년도에 시행된 실기 시험의 경우, 제1회에 40.4%, 제2회 합격률은 61.90%, 제3회 합격률은 29%로 차이가 컸다. 올해 제1회 실기의 경우, 8,066명이 응시하여 3,499명 합격으로 합격률은 43.37%였다.
- 강애림 기자 | 2023-07-31 11:00:48

- 산업안전산업기사 응시자격 조건에 해당하는 8가지 항목
- 산업안전산업기사 검정 현황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매년 시험을 준비하는 인원은 크게 증가하고 있다. 2014년 필기 응시자가 연 1만 명을 넘었고, 2018년에 약 19,000명 이상이 응시를 했으며 2022년에는 약 29,000명이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 시험에 응시했다. 산업안전산업기사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먼저 '응시자격'을 확인해야 한다.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시험은 산업기사 이상부터는 응시자격 제한이 있어 1. 기술자격 소지자 2. 관련학과 전공자 3. 경력자로 해당 항목 중에서 1개 이상에 해당하면 인정된다.산업안전산업기사 응시자격 조건에 해당하는 항목들은 '1. 기능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2.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다른 종목의 산업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 3. 관련학과의 2년제 또는 3년제 전문대학졸업자 등 또는 그 졸업예정자, 4. 관련학과의 대학졸업자 등 또는 그 졸업예정자, 5.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산업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자 또는 그 이수예정자, 6.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2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7.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기능경기대회 입상자, 8. 외국에서 동일한 종목에 해당하는 자격을 취득한 사람'으로 8가지 항목이 있다. 이 중 하나 이상에만 해당되면 인정되며, 큐넷에 로그인 후 '응시자겨 자가진단' 서비스를 통하여 본인의 응시가능 여부를 파악해 볼 수 있다.
- 심승희 기자 | 2023-06-19 14:48:08

- 2023년도 산업안전산업기사 제1회, 제2회 합격률 차이는?
- 산업안전산업기사 자격제도는 산업현장의 근로자를 보호하고 근로자들이 안심하고 생산성 향상에 주력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만들기 위한 지식을 가진 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제정된 제도로 일정 응시자격 조건을 갖추고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시험에 합격하여 취득할 수 있다. 산업안전산업기사 자격시험의 경우 1차 필기와 2차 실기로 실시된다. 필기 시험은 ① 산업안전관리론, ②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③ 기계위험방지기술, ④ 전기 및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⑤ 건설안전기술 5과목으로 객관식 4지 선다형으로 시행되며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과락없이 평균 60점 이상을 받아야 한다. 실기 시험은 '산업안전 실무' 과목으로 복합형 시험이며 배점은 필답형 55점, 작업형 45점으로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총 60점 이상을 득점해야 한다. 시험은 영상자료을 이용하여 시행되며, 제조 및 서비스 등 각 사업현장에서의 안전관리에 관한 이론적 지식과 관련 법령을 바탕으로 일반지식, 전문지식과 응용 및 실무 능력을 평가하는 내용으로 출제된다.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 시험 합격률은 회차에 따라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제1회 필기 대상인원은 20,597명, 응시자는 13,687명, 합격자는 7,082명으로 합격률은 51.74%이며 제2회에 시행된 필기의 경우 대상자 18,903명 중에서 12,620명이 응시하여 5,476명이 합격하여 합격률은 43.39%로 1회 시험에 비해 낮았던 편이다. 연도별 평균 합격률을 확인해보면 2020년에는 51.3%로 최근 시험 중에 합격률이 가장 높았고 2021년에는 48.2%, 2022년에는 45.1%로 차츰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 김상경 기자 | 2023-06-19 14:00:29

- 2023년 산업안전산업기사 회차별 실기 시험일정은?
- 산업안전산업기사는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시험에 합격하여 해당 자격을 취득한 사람을 뜻하며 시험은 필기와 실기로 실행된다. 필기 시험의 경우 객관식 4지 선다형으로 한 문제에 4개의 보기가 주어지며 cbt로 컴퓨터로 응시하는 방식이다. 시험과목은 '산업안전관리론,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기계위험방지기술, 전기 및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건설안전기술'로 5과목이며 총 100문항으로 2시간 30분간 실시된다. 실기 시험은 필기 시험 합격자에 한해서 응시할 수 있으며 '산업안전실무' 과목으로 복합형으로 시행되고 시험 시간은 필답형 1시간, 작업형 1시간이다.산업안전산업기사 시험은 정기기사 1회, 2회, 3회에 시행된다. 2023년도 산업안전산업기사 1회의 경우 필기 접수는 1.10~1.19, 시험은 2.13~3.15로 2월과 3월로 나누어서 실시가 되었고 실기 접수는 3.28~3.31, 시험은 4.22~5.7까지였으며 필답형은 4.23 일요일에 시행되었다. 제2회 필기 접수는 4.17~4.20, 시험일은 5.13~6.4이며 실기 원서접수 기간은 6.27~6/30, 시험일은 7.22~8.6까지로 필답형은 7.22 토요일이다. 제3회 필기 원서접수 기간은 6.19~6/22, 시험일은 7.8~7.23까지이며 실기 접수 기간은 9.4~9.7, 시험일은 10.7~10.20까지로 필답형은 10.7 토요일에 시행된다.
- 현경선 기자 | 2023-06-16 09:42:47

- 칼럼산업안전산업기사 23년 남은 기회 잡기 위한 계획 세우기
- 산업안전산업기사는 기계, 금속, 전기, 화학 목재 등 산업전분야와 제조업체,안전관리 전반에 적용 되는안전 분야 대표 자격증입니다. 산업안전보건법 강화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라서 산업안전 전문가의중요성이 강조 됨에 따라서 꾸준하게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데요. 산업안전산업기사를 취득하여 하게 되는 일을 살펴보면 제조 및 서비스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 배속 되어서 산업재해 예방계획의 수립에 관한 사항을 수행하고 작업환경의 점검 및 개선에 대한 사항, 유해 및 위험 방지 사항, 사고사례 분석, 근로자의 안전 교육 및 훈련에 관한 업무를 하게 됩니다 산업안전산업기사는 안전보건공단, 대한산업안전협회 등의 안전 관련 공기업 및 공공기관의 산업안전 기술 지원 부서, 제조업체와 건설업 현장의 안전 관리자, 위험 작업 교육기관, 재해 예방 전문 지도 기관 등 다양한 곳으로 취업이 가능한데요. 이렇듯 활용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산업안전산업기사를 취득하려면 자격 시험인 필기와 실기 시험을합격 해야 합니다! 그러나 근로자의 생명과 직결 되는 안전에 대한 전문 자격이기에 누구나 응시 할 수 있는 것은 아닌데요. 응시자격을 갖추어야 산업안전산업기사자격시험에 도전 할 수 있으며 응시자격은 크게 3가지 정도로 구분이 가능합니다. 첫번째는 기술자격 소지자입니다. 동일(유사) 분야 다른 종목 기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이며 기능사 자격 보유자는 실무 경력 1년이 함께 필요합니다. 두번째는 관련학과를 전공하여 졸업한 경우로 4년제는 4학년 1학기 이상 재학 및 졸업생, 2년제와 3년제전문대는 졸업(예정자)입니다.마지막은 실무 경력으로만 자격을 갖추는 경우로서 관련 분야에서 실무 경력 2년 이상을 쌓은 사람입니다. 응시자격을 갖춘 후 준비해야 하는 사항에 대해 알아볼까요? 필기시험은 객관식으로 평가하고 있고 실기시험은 복합형(필답형+작업형)으로 평가하는데요. 필기시험은 1)산업안전관리론 2)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3)기계위험방지기술 4)전기 및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5)건설안전기술 과목을 과목당 20문항/30분으로 진행해요. 실기시험은 산업안전실무 과목으로 출제하고 필답형 1시간+작업형1시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작업형은 영상자료를 활용해서 시행되는 방식입니다. 산업안전산업기사의 모든 시험은 1년에 3번씩 기회가 주어지고 있는데요! 올해 남은 시험 일정은 필기와실기 각각 2번씩 이지만 2회 필기는 5월13일부터 시행중입니다. 남은 시험 기회를 잡기 위해서는 어떻게대비해야 할까요? 대비방법을 선택하기 위해 합격률을 살펴보면 2022년 기준으로 전년도에 비해 하락한 추세인데요. 어려워지고 있는 있는 난이도를 대비하려면 독학 보다는 전문 강의를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에듀채널 | 2023-05-16 09:14:13
002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