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

- 2023년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산업기사 회차별 시험일정
-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산업기사 시험은 연 3회씩 시행되는 자격제도이다. 2023년도 시험일정을 확인해보면, 정기기사 1회와 2회, 4회 일정에 따라 시행된다. 제1회 필기 접수 기간은 1.10~1.19, 빈자리 추가 접수는 2.7~2.8, 시험은 2.13~3.15에 시행되었고 실기 접수는 3.28~3.31, 추가 접수는 4.16~4.17, 필답형 시험은 4.23에 시행되었다. 제2회 필기 접수 기간은 4.17~4.20, 빈자리 접수기간은 5.7~5.8, 시험일은 5.13~6.4이며 실기 접수는 6.27~6.30, 추가접수는 7.16~7.17, 필답형 시험은 7.22에 실시되었다. 마지막 제4회 필기 접수는 8.7~8.10까지이고 추가 접수는 8.27~8.28, 시험은 9.2~9.17이며, 실기 접수는 10.10~10.13까지로 필답형 실기는 11.5에 시행될 예정이다.정기 원서접수는 4일간 실시된다. 보통 접수 첫날 10시부터 시작되어서 마지막 날 18시까지 신청할 수 있다. 단, 수험자가 몰릴 것을 대비해서 응시지역에 따라 접수 첫날 시간을 달리하기도 한다. 1회 필기의 경우, 수도권 지역의 접수 시작 시간은 오후 2시로 변경했고, 4회 필기 시험의 경우 수도권 외 지역은 오후 12시부터, 수도권 지역은 오후 2시부터 시작된다. 회차에 따라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접수 전에 공지되는 큐넷의 수험자 안내사항을 확인해야 한다. 추가로 시행되는 빈자리 접수의 경우는 정기 접수 이후 생긴 여석에 한해서만 신청할 수 있고 2일간만 실시된다. 선착순으로 접수되기 때문에 빠르게 마감될 수 있다.
- 강애림 기자 | 2023-07-28 09:05:20

- 2023년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산업기사 제1회 필기와 실기 합격률은?
-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산업기사는 2011년도에 신설되어, 2013년부터 실시되고있다.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산업기사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소나 모든 건물 및 시설의 신재생에너지발전시스템 설계 및 인허가,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 시공 및 감독, 신재생에너지발전시스템의 시공 및 작동상태를 감리,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유지보수 및 안전관리 업무 등을 수행하며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시험을 통해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필기시험은 객관식 4지 택일형이며 1. 태양광 발전 시스템 이론, 2. 태양광발전 시스템 시공, 3. 태양광발전 시스템 운영, 4. 신재생 에너지 관련 법규 총 4과목으로 시행되며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평균 60점 이상이 되고, 과목별 점수는 40점 이상이 되어야 한다. 2차로 시행되는 실기 시험은 주관식 필답형 방식으로 '태양광발전설비 실무'과목이며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받아야 한다.2022년도에 시행된 평균 합격률은 필기가 31.3%, 실기가 21.7%였으며, 2023년도 제1회에 실시된 채점결과를 확인해보면 770명 중에서 493명이 응시하여 그 중 174명에 합격, 합격률은 35.29%로 최근 평균보다 낮은 수치였다. 실기는 시험 대상자 459명, 응시자 372명, 합격자는 127명으로 합격률 34.13%로 지난 전체 평균보다 높은 수치이다.
- 한지영 기자 | 2023-07-05 07:53:16

- 2023년도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 실기 필답형 시험일정은?
-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는 태양광, 풍력, 수력, 연료전지의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 시스템에 대한 공학적 기술이론 지식을 가지고 독립적인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및 건축물과 시설 등을 기획, 설계, 시공, 운영, 유지 및 보수하는 업무 등을 수행한다. 자격증 취득자는 태양광 관련 업체 취업 시 우대받게 되며 전기공사업의 기술인력으로도 선임될 수 있다.자격시험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며 1차 필기는 ① 태양광발전 기획, ② 태양광발전 설계, ③ 태양광발전 시공, ④ 태양광발전 운영 4과목으로 객관식 4지 선다형으로 시행되고, 2차 실기는 '태양광발전설비 실무' 과목으로 필답형으로 실시된다.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필기는 과락없이 전체 과목 평균이 60점 이상 되어야 하고, 실기는 60점 이상을 득점해야 한다.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 실기 시험은 일 년간 총 3번의 응시기회가 있다. 2023년도 정기기사 1회, 2회, 4회차 일정에 따라 실시가 되며 제1회 실기 접수는 3.28~3.31, 추가 접수는 4.16~4.17이며 4.22~6.25 시험기간 중 4.23 일요일에 필답형이 시행된다. 제2회 실기 접수 기간은 6.27~6.30, 시험은 7.22~8.6 기간 중에 7.22 토요일에 실시가 되며, 제4회 실기 원서접수는 10.10~10.13까지로 시험은 11.4~11.17 중에서 11.5 일요일에 시행된다.
- 김상경 기자 | 2023-05-31 08:47:25

-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 시험과목과 합격기준은?
-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는 2011.11.23. 고용노동부령 제35호에 의해 신설되어, 2013년부터 실시되었다.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없으며,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 기능사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소나 모든 건물 및 시설의 신재생에너지발전시스템 설계 및 인허가,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 시공 및 감독, 신재생에너지발전시스템의 시공 및 작동상태 감리,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유지보수 및 안전관리 업무 등을 수행하며 신재생에너지설비에 대한 공학적 기초이론 및 숙련기능, 응용기술 등을 가지고 태양광발전설비를 기획, 설계, 시공, 감리, 운영, 유지 및 보수하는 업무 등을 수행한다.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 자격시험은 필기와 실기로 시행되며 1차 필기는 객관식 4지 택일형으로 '태양광발전설비' 과목에서 60문항이 출제된다. 2차 실기는 필기 시험 합격자에 한해서 응시가 가능하며 '태양광발전설비 실무'에 대한 주관식 필답형으로 실시된다. 두 시험 모두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받아야 합격하게 되며 필기 시험에 합격한 후에는 필기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 시험을 면제받을 수 있다.
- 김문성 기자 | 2023-03-02 10:05:20
00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