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산업기사는 축산에 관한 기술기초이론 지식 또는 숙련기능을 바탕으로 복합적인 기능업무를 수행한다. 질 좋은 우유, 육류, 난류와 같은 축산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유전자 조작을 통해 새로운 형질의 가축을 생산, 개선하고, 소 돼지, 닭, 토끼, 양, 벌과 같은 가축을 사육, 번식, 관리하는 직무를 수행하며 동물의 먹이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사료재원을 개발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축산과 관련된 자격 제도는 축산기능사, 축산산업기사, 축산기사, 축산기술사 등으로 나누어지며 축산산업기사는 축산 분야에 관한 국가기술자격 제도로서 축산에 관한 유일한 산업기사제도이다. 시험은 1차 필기와 2차 실기로 시행된다. 필기 과목은 '가축번식육종학, 가축사양학, 축산경영학, 사료작물학'이며 과목당 20문제씩으로 총 80문항이 출제된다. 객관식 4지 택일형으로 과목당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하여 최소 40점 이상이 되고, 전 과목의 평균 점수는 60점 이상이 되어야 한다. 2차 실기는 축산실무에 대한 필답형으로 시행되며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