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정비란 기계상의 결함이나 사고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자동차가 정상적으로 운행되지 못하는 경우 원인을 찾아내고 정비하여 안전하고 쾌적한 운행상태로 바꾸어 주는 것을 말한다. 자동차정비산업기사는 자동차의 냉각수, 윤활유, 충전상태, 유압 등 사고예방을 위한 일상점검과 정기점검을 실시하며 고장이나 사고에 의한 직접적인 정비업무 또는 지도적 기능업무를 수행한다. 2012년부터 자동차정비산업기사와 자동차검사산업기사가 통합되어 시행되고 있다.
자동차정비산업기사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며 1차 필기와 2차 실기로 실시된다. 필기 시험은 '자동차 엔진정비, 자동차 섀시정비, 자동차 전기·전자장치정비, 친환경 자동차정비'로 4과목이다. 객관식 4지 택일형으로 과목당 20문항씩 출제되며 시험 시간은 과목당 30분씩이다. 필기 시험은 100점을 기준으로 하여 전 과목의 평균이 60점 이상이 되어야 하며 과락이 적용되어 과목당 점수는 최소 40점 이상이 되어야 한다. 2차 실기는 자동차정비에 대한 작업형 시험이며 시간은 5시간 30분정도 소요가 된다. 실기 또한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을 받아야 합격하게 된다.
자동차정비산업기사는 자동차정비기능사 보다 한 단계 높은 자격증 시험으로 산업기사 취득 후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하면 상위 자격증인 자동차정비기사에 응시할 수 있으며, 5년 이상 실무 종사 경력이 쌓이면 자동차정비기능장 시험의 응시가 가능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