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강기산업기사는 기계, 전기 분야의 지식과 숙련기능을 바탕으로 안전하고 이용하기 편리한 현대식 승강기를 설계, 제작하거나 승강기의 설치, 검사, 유지, 보수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전문대학 이상의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기계과, 기계설계과, 전기과 등 관련학과를 전공했거나 산업기사 수준의 훈련과정을 이수한 자 또는 동일 및 유사분야에서의 기술자격증이 있는 자, 동일 직무분야에서 2년 이상 경력이 있는 자에 한해서 준비할 수 있는 시험이다.
자격증 시험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며 필기는 '승강기개론, 승강기설계, 일반기계공학, 전기제어공학'으로 4과목이다. 객관식 4지 택일형으로 과목마다 20문제가 출제되어 총 80문항이다.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의 평균이 60점 이상 되어야 한다. 실기는 필답형과 작업형이 모두 시행되었으나 2020년부터 작업형 시험은 폐지가 되어 승강기 실무에 대한 필답형으로만 실시가 된다. 100점을 만점으로 60점 이상을 취득해야 한다.
승강기산업기사 시험의 합격률은 낮은 편이다. 2021년도까지 시행된 전체 회차의 평균을 계산해보면 1차 필기의 평균 합격률은 17.1%, 2차 실기의 합격률은 49.5%로 특히 필기의 합격률이 낮다. 가장 최근에 실시된 작년 시험의 평균 합격률은 필기가 22.6%, 실기가 49%였다. 실기 또한 시험 방식이 개편되면서 평균 합격률이 낮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