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재료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험하고 분석, 조직검사, 열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함으로써 중공업 및 정밀공업, 자동차 및 항공, 건설산업 등 의 기초산업분야에서의 안전과 경제적 이익을 도모하고자 금속재료산업기사가 제정되었으며, 금속재료산업기사는 금속재료에 관한 기술기초지식과 상급 숙련기능을 바탕으로 금속과 합금을 유용한 형상을 만들기 위한 재료시험, 결함시험, 금속열처리 등의 업무수행 또는 이와 관련된 지도적 기능업무를 담당한다.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시험을 통해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으며 일정 자격요건을 갖춰야 응시가 가능하다.
자격시험은 필기, 실기로 시행되며 1차 필기는 '금속재료, 금속조직, 금속열처리, 재료시험'으로 객관식 4지선다형으로 시행된다. 2차 실기는 '금속재료 관련 작업'에 대한 복합형 시험으로 필답형과 작업형을 모두 준비해야 한다.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필기는 과락없이 전체 평균이 60점 이상되면 합격이며, 실기는 총점이 60점 이상이 되면 합격이다.
시험에 합격하면 제철소, 제련소, 금속기계제조업체에 진출하거나 조선·자동차·항공·전기전자·방위 산업체 등의 금속재료의 품질관리나 생산관리 관련부서에 진출하거나 경력을 쌓은 후 직접 관련업체를 운영할 수 있다. 대부분의 업체에서 공인된 능력소지자 채용을 희망하고 있어 자격증 취득시 취업이 유리한 편이고 현업 종사자 중에도 경력과 실력을 인정받고자 자격증을 취득하는 경우가 많다. 자격증 취득 후에도 금속재료분야에 대한 폭넓은 이론적 지식과 상위의 실무능력을 쌓도록 꾸준히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