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산업기사는 교통에 관한 기초적인 기술이론을 바탕으로 교통실태 및 문제점 파악을 위한 실태 조사와 분석을 담당하며 원활한 교통 소통을 위한 도로교통시설의 설계와 교통사고방지를 위한 다각적인 대책 마련 등 제반업무를 수행한다. 자격증을 취득하면 관공서 교통담당, 교통안전지도원, 교통관리자 등으로 활동할 수 있으며 건설교통부, 교통관련 정부투자기관, 교통관련 연구기관 및 학계 등으로 진출이 가능하다. 교통분야에서는 채용 시 교통관련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하고 있어 취득 시 취업에 유리하다. 또한 교통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의 감리원으로 고용될 수 있다.
시험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며 1차 필기와 2차 실기까지 합격해야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필기는 '교통운영, 교통계획, 교통안전, 교통시설' 4과목으로 객관식 4지선다형으로 시행된다. 기존에는 5과목으로 실시가 되었으나 2021년부터 개편이 되었다.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4과목의 평균 점수가 60점 이상이 되고 과목당 점수가 40점 이상이 되어야 합격하게 된다. 2차 실기는 '교통운영 및 관리'에 대한 필답형으로 실시가 되며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