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농업이란 농약이나 생장조절제 등의 유기합성농약, 화학비료, 가축사료첨가제 등의 합성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유기물과 자연광석 미생물 등 자연적인 자재만을 사용하는 농법을 말한다. 유기농업은 자연보호 및 농가의 소득증대 측면에서 중요성을 가지지만, WTO에 대응하여 자국농업을 보호하고 아울러 국민의 보건복지 증진이라는 의미에서 매우 중요하다. 최근에는 환경오염으로 인해 유기농업의 중요성과 수요가 증대되고 있으며 고부가가치 작물생산의 한 방안으로서 유기농업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증대되는 추세이다.
유기농업기능사 자격시험은 필기와 실기로 구분되며 1차 필기의 시험과목은 '작물재배, 토양관리, 유기농업일반' 3과목이다. 필기시험에서는 객관식 60문항을 1시간 내에 풀어야한다. 2차 실기의 경우 2021년도에 한차례 변화를 거쳐 기존의 작업형 시간에서 필답형으로 변경되었다. 유기농 생산 작업에 대하여 20문제 내외로 출제되며 필기와 실기 모두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이 되어야 합격이다.
해당 시험의 합격률은 최근 5년 간 필기 50~60%대, 실기 80~90%대로 비교적 높은 합격률을 보인다. 2021년도의 합격률을 보면 필기 시험에서 60.1%가 합격하였으며, 실기 시험은 시험 방식에 변화가 생겼음에도 불구하고 80.2%가 합격하며 여전히 높은 합격률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