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경영관리사 자격은 우리나라의 스포츠 경영분야에서 유일한 국가자격증이다. 제도를 처음 도입하였던 2005년도에는 응시 제한이 있었으나 2011년부터는 학력규제 요건이 폐지되면서 누구나 응시할 수 있게 되었다. 스포츠경영관리사는 프로 및 아마추어 스포츠구단의 스포츠마케팅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또한 스포츠콘텐츠의 확보와 상품화에 힘쓰고, 스포츠선수 대리인사업을 시행한다. 자격증을 취득하면 공공기관의 종합체육시설, 프로 스포츠 구단, 각종 경기단체, 일반기업체, 교육기관 등에 취업할 수 있다.
시험의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없다. 연령, 학력, 경력, 성별, 지역 등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시험은 1차와 2차로 시행된다. 스포츠경영관리사 1차는 필기로 총 4과목이다. '스포츠산업론, 스포츠경영론, 스포츠마케팅론, 스포츠시설론' 과목마다 25문제씩 총 100문항이며 시험 시간은 2시간 30분이다. 매 과목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당 점수가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점수가 60점 이상이면 합격하게 된다. 스포츠경영관리사 2차는 실기 시험으로 필기 시험에 합격해야 응시가 가능하다. '스포츠마케팅 및 스포츠시설경영실무'에 대한 필답형 시험으로 3시간 정도 실시가 된다.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을 받아야 한다. 2022년도 스포츠경영관리사 시험은 제1회, 제2회, 제4회 정기기사 일정에 따라 실시된다. 제1회 필기 시험은 3월 5일, 실기는 5월 7일~5월 25일에, 제2회 필기는 4월 24일, 실기는 7월 24일~8월 7일, 제4회 필기는 9월 14일~10월 3일, 실기는 11월 19일~12월 2일에 각각 실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