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기능사는 각종 유선방송설비를 설치하고 정상적인 운용을 위해 수공구와 측정기를 사용하여 전송 장비를 설치, 운용하고 시험 등을 통하여 점검하거나 고장을 발견하여 수리하는 직무를 수행하며 방송시스템에서 제작 및 가공된 방송 콘텐츠가 수신자에게 서비스(수신)되기 전까지 단계별로 기기들의 운용 · 유지관리 · 시스템 구성 및 송출과 관련된 업무와 방송통신시스템을 설치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자격증을 취득하면 공중파방송국, 종합유선TV방송국, 중계유선방송국 등에 취업이 가능하며 방송통신장비 설비업체나 초고속망설치업체, 통신관련업체 등으로도 진출이 가능하다.
방송통신기능사 시험은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서 시행하며 관련 경력이나 학력자가 아니어도 응시가 가능하다. 1차 필기는 전기전자개론, 전자계산기일반, 방송통신일반, 방송설비기준으로 4과목이며 객관식 4지 택일형으로 전 과목에서 혼합하여 60문제가 출제된다. 2차 실기는 방송통신설비에 대한 작업형 시험으로 3시간 정도 시행된다. 필기와 실기 모두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받아야 합격하게 된다.
방송통신기능사의 상위자격증으로 방송통신산업기사와 방송통신기사가 있으며 산업기사 이상부터는 응시자격에 제한이 있다. 관련분야의 자격증 소지자나 경력자, 학위 취득자에 한해서 응시할 수 있으며 기능사 자격증을 소지했다면 동일 직무분야에서 일정 기간 이상 경력을 쌓아 응시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