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삭기능사는 현장에서 공작기계인 연삭기를 조작하여 다른 공작기계에서 가공된 금속제품 및 기계부품을 갈거나 표면을 매끄럽게 다듬거나 광택을 내는 작업을 수행한다. 연삭기능사 자격시험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며 기존의 검정형과 과정평가형을 병행하여 운영하고 있었으나 2021.1.1부터 폐지되었다. 기술과 장비의 발전으로 수동연삭 작업의 수요가 낮고, 관련 교육·훈련과정의 모집 및 개설이 어려워 자격 수요 저조 및 활성화 가능성이 낮다고 보았다.
2022. 1. 1. 전에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 중 폐지된 종목의 국가기술자격을 취득한 사람은 종전의 규정에 따른 국가기술자격을 계속 보유하며 2022. 1. 1. 전까지 연삭기능사 필기시험에 합격하고 실기시험에 합격하지 않은 사람에 대해서는, 폐지된 국가기술자격의 종목과 같은 등급의 같은 직무분야(국가기술 자격법 시행규칙 별표 11의2의 유사직무 포함)의 국가기술자격 중에서 본인이 선택하는 국가기술자격 종목의 필기시험에 합격한 것으로 보아, 해당 필기시험에 합격한 날부터 2년간 해당 국가기술자격 종목의 필기시험을 면제한다.
지금까지 실시된 연삭기능사의 평균 합격률은 1차 필기가 34.6%, 2차 실기가 57.5%이다. 가장 최근에 시행된 2021년도 결과를 보면 1차 필기의 합격률은 50%였고 2차 실기는 응시인원은 있으나 합격인원이 없어 0%였다.
연삭기능사 필기는 기계가공법 및 안전곤리, 기계재료 및 요소, 기계제도(절삭부분) 과목으로 객관식 4지 택일형으로 실시가 되었으며 실기는 연삭작업실무에 대한 작업형으로 시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