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실제 지역사회영양활동 경험을 지닌 전문가 집필진이 참여해 개발되었으며, 국내외 최신 건강·영양 통계와 정책 자료를 반영하여 현실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를 돕는다. 교재는 총 4개 파트, 13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파트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Part I. 지역사회영양학의 개요
지역사회영양학의 기본 개념,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영양 현황, 식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환경적 요인을 다룬다.
Part II. 근거 중심의 지역사회영양학
영양과 건강의 관계 평가, 영양정보의 이해와 활용, 건강행동 이론과 모형을 통해 과학적 분석 역량을 기를 수 있다.
Part III. 지역사회 영양사업의 개발, 실행과 평가
요구조사, 프로그램 설계·실행·평가의 전 과정을 실무 중심으로 제시하여 현장 적용 능력을 강화할 수 있다.
Part IV. 지역사회 영양정책과 영양사업
국내 주요 영양정책과 사업, 국제적 영양문제 및 기구 활동을 소개하여 국내외 지역사회영양활동을 폭넓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각 장에는 실제 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과 연습문제를 포함하여, 단순한 지식 습득을 넘어 비판적 사고와 실천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는 보건소,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 학교, 산업체, NGO, 국제기구 등 다양한 진로를 준비하는 식품영양학 전공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