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마음은 건강하신가요?”
심리학으로 만나는 정신건강 이야기
우리는 매일 “잘 지내요?”라는 인사를 주고받곤 하지만, “당신의 마음은 건강하신가요?”라는 질문은 좀처럼 하지도, 받지도 않는다. 몸의 피로나 통증에는 금세 반응하면서도, 마음의 불편함이나 균열에는 무심해지기 쉽다. 그러나 정신건강은 특정한 상황에 처한 사람만의 문제가 아니라, 나이와 직업, 환경을 초월해 모든 이의 삶과 직결된 주제이다.
《심리학으로 만나는 정신건강》은 심리학의 관점에서 정신건강을 깊이 이해하고, 나아가 개인과 사회의 정신건강을 증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책은 정신건강의 의미를 출발점으로 삼아 스트레스, 정신장애, 중독 등 정신건강과 밀접하게 관련된 영역을 다루고, 정서 조절, 심리자본과 성격 강점의 활용, 삶의 의미 탐구 등을 통해 개인의 정신건강을 도모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대인관계, 부모자녀관계, 다문화와 다양성 등 사회적 맥락으로 시선을 확장하여, 정신건강을 더욱 폭넓게 이해하도록 이끈다.
‘건강한 마음’은 곧 ‘건강하지 않은 마음’을 이해할 때 비로소 온전히 드러난다. 이 책은 정신건강을 명료하게 바라보고, 건강한 마음을 가꾸는 데 든든한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정신건강의 이론적 이해와
효과적인 실천을 위한 주제별 구성
이 책은 정신건강에 대해 심리학의 관점으로 접근하는 가장 체계적인 안내서이다. 심리학 이론의 핵심 개념을 정신건강과 연관 지어 이해할 수 있도록 관련 연구 성과와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으며, 복잡하고 어려운 이론을 도식화하여 정리한 그림과 일목요연한 표를 통해 더욱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정신건강 관련 심리 검사와 척도를 수록하여 전문적인 영역까지 밀도 있게 접할 수 있게 하였다. 주제에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참고할 만한 읽을거리를 ‘더 알아보기’와 ‘생각해볼 문제’ 코너로 마련하였으며, 각 장 말미에는 장의 전체 내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요약’을 제공하였다. 끝으로, 다채로운 ‘활동’을 풍성하게 구성하여 정신건강의 증진을 실생활과 접목하여 실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책은 총 12장에 걸쳐 정신건강에 관한 여러 이론과 실천 방안을 폭넓게 다룬다.
1장 「정신건강에 대한 이해」에서는 심리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초 지식을 소개하고, 정신건강을 바라보는 관점에 따른 판단 기준과 정신건강의 원인을 설명하는 주요 접근 방법들을 살펴본다.
2장 「스트레스」에서는 스트레스의 의미와 측정 방법, 스트레스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이를 대처하는 방식에 대해 알아본다.
3장 「성격과 정신건강」에서는 성격의 정의와 다양한 성격 이론, 성격이 정신건강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소개한다.
4장 「정신장애」에서는 성격의 정의와 다양한 성격 이론, 성격이 정신건강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들여다본다.
5장 「정신건강과 중독」에서는 중독의 개념과 원인을 알아보고, 물질중독의 가장 흔한 유형인 알코올중독과 최근 들어 주목받고 있는 행동중독 유형인 스마트폰중독에 대해 설명한다.
6장 「자살과 비자살적 자해」에서는 스스로를 해치는 행동인 자살과 비자살적 자해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발생 배경과 보호 요인을 알아본다.
7장 「정서 조절」에서는 정서의 의미와 정서 조절의 이점 및 전략에 대해 이해한다.
8장 「심리자본 및 성격 강점의 활용」에서는 심리자본과 성격 강점에 대해 소개하고, 이를 개인의 성장 및 정신건강을 증진시키는 데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9장 「삶의 의미와 정신건강」에서는 삶의 의미에 대한 관점과 개념을 정신건강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이를 경험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10장 「대인관계와 의사소통」에서는 대인관계의 의미와 유형이 변화해온 과정을 톺아보고,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11장 「부모자녀관계」에서는 부모자녀관계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적 관계 형성을 위한 방법에 관해 살펴본다.
12장 「일상에서 만나는 다문화와 다양성」에서는 다문화와 다양성의 의미를 알아보고, 다문화 수용과 타자화를 정신건강의 측면에서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