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현대 특수교육학개론

현대 특수교육학개론

  • Deborah Deutsch Smith
  • |
  • 박영스토리
  • |
  • 2025-08-29 출간
  • |
  • 692페이지
  • |
  • 210 X 270mm
  • |
  • ISBN 9791172791537
판매가

39,500원

즉시할인가

39,105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9,105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역자 서문 i
저자 서문 iii

제 1 장 예외성에 관한 고찰
예외성을 관점에서 바라보기 3
모든 학생 3
미국 학교의 구성 4
공립학교 인구의 변화 5
장애학생 6
IDEA 장애 범주 6
출현율(Prevalence) 8
영재교육 대상 학생 10
영재교육 대상 학생을 위한 서비스 10
간과되는 영재교육 대상 학생 11
장애와 사회적 정의 12
사회적 정의의 쟁점 12
시대에 걸친 장애인의 처우 12
영화에 반영된 장애에 대한 사회적 인식 14
역사적으로 소외된 집단으로서의 장애인 15
미국에서 장애인과 다른 역사적으로 소외된 집단의 경험 간 유사점 15
장애인의 옹호 활동 15
교육 참여 17
불평등한 교육 기회 17
통합학교 선택이 중요한 이유 18
변화 만들기 19
인식이 중요하다 19
인식과 태도의 영향 19
장애에 대한 다양한 관점 20
말의 중요성 21
신중한 소통 21
사람 우선 언어 vs. 장애 우선 언어 22
변화하는 환경 23
가족 참여의 증대 23
학업 성과 24
오늘날 장애학생 교육의 현황 24
더 큰 진보가 가능하다 24
고등교육에서의 성취 25
고등교육 참여 25
대학 참여 및 성취를 위한 지원 26
지역사회 참여 26
사회 및 일상생활 속으로의 통합 26
지역사회 접근성 향상을 위한 환경적 조정 27
요약 30
참고문헌 31

제 2 장 모든 학습자를 위한 지원
학교 성공을 위한 토대 마련: 양질의 수업 37
쟁점 이해: 학생 수행과 결과 37
증거기반실제(Evidence-Based Practices, EBP) 41
보편적 학습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43
보편적 학습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및 차별화교수(Differenatited Instruction, DI) 45
내용 46
과정 46
학습산출물 46
학습 환경 47
차별화교수와 보편적 학습설계: 비교 47
데이터기반 의사결정(Data-Based Decision Making) 48
다층지원체계(Multi-Tiered System of Supports, MTSS) 50
중재반응모형(Response To Intervention, RTI) 50
긍정적행동중재및지원(PBIS) 53
요약 56
참고문헌 57

제 3 장 문화적 및 언어적 다양성 학습자
다양성 학습자 65
다양한 환경 65
사회정의 쟁점 69
팬데믹의 영향 73
팬데믹 이후 학업 회복 74
불균형성 이해 75
문화적 다양성 78
불협화의 이해 78
문화 간 불협화를 예방 80
문화감응적이고 지속적인 수업 제공 82
부모와 가족 85
언어적 다양성 86
제2언어 습득 이해 86
영어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실제 89
요약 92
참고문헌 93

제 4 장 기본 보장, 개별화된 프로그램, 그리고 전문화된 서비스
장애학생 교육 105
연방 법률 105
기본 보장사항 107
엔드류(Andrew) F. 사건과 교육적 이익 110
장애아동 조기발견 및 서비스연계 112
IEP와 504조 과정의 단계 114
절차적 요구사항 116
부모와 가족 116
개별화 교육: 계획과 프로그램 118
IFSP와 IEP 118
IFSP와 IEP의 기본 요소 119
행동 및 중등 전환을 위한 추가 IEP 구성요소 121
수업 조정(Accommodation)과 수정(Modification)의 차이 123
실질적 요건 125
서비스, 인력, 그리고 환경 125
개별화 서비스 125
전문 인력 128
환경의 연속체 129
요약 134
참고문헌 135

제 5 장 말-언어장애
말-언어장애 기술 141
말-언어장애 정의 141
말-언어장애의 유형 142
말장애 144
언어장애 145
특성 146
출현율과 배치 149
특수교육 151
도전과 해결책 151
도전: 표현, 수용, 그리고 화용론적 어려움 151
해결책: 언어재활 및 기타 지원 154
조정 156
조기중재 157
판별 158
조기중재 서비스 160
학령기 162
전환교육 163
부모 및 가족 165
팬데믹의 영향 167
사람과 상황 168
기원과 역사 168
개인 이야기 169
미래 전망 170
예방: 의학적 및 환경적 중재 170
기술: 의사소통 개선 172
요약 174
참고문헌 176

제 6 장 학습장애
학습장애 기술 185
학습장애 정의 185
학습장애 설명 185
학습장애 판별 186
학습장애 유형 188
세 가지 학습장애 유형 189
학습장애 유형들이 어떻게 중첩되는가 190
특성 191
공통적 특성 191
추가적 특성 193
출현율과 배치 194
출현율 194
배치 195
특수교육 196
도전과 그 해결책 196
학습장애와 관련된 도전 197
학습장애 해결 방안 198
도전과 해결책: 잘 준비된 교사들과 반응적인 학교가 중요하다 199
조정 201
학습장애학생들을 위한 보편적 학습설계의 이점 201
추가적인 개별화된 조정의 필요성 202
조기중재 204
학습장애의 조기 경고 징후 204
조기중재의 이유 204
학령기 204
효과적인 교수 중재 204
학습전략 교수 206
전환 206
중등후 생활 준비 206
대학 선택 고려사항 207
부모와 가족: 대학 준비와 참여에서의 역할 209
사람과 상황 211
기원과 역사 211
학습장애의 기원 211
학습장애의 진화 213
개인적 이야기들 215
롤 모델: 장애를 가진 성인들 215
학습장애에 초점을 맞춘 조직들 215
미래 전망 216
예방: 보건의료와 기술 발전 216
기술: 적절한 보조공학 선택 218
요약 220
참고문헌 222

제 7 장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설명 234
ADHD 정의 234
ADHD 판별 235
ADHD의 유형들 236
부주의 236
과잉행동/충동성 237
복합형 238
ADHD의 특성 238
부주의, 과잉행동, 충동성 간의 공통점 238
긍정적 특성들 240
출현율 240
특수교육 서비스를 받는 ADHD 학생들의 출현율 241
ADHD 학생들의 불균형적 대표성 242
특수교육 246
도전과 그 해결책 246
ADHD와 관련된 도전들 246
ADHD를 줄이거나 극복하는 해결책들 247
ADHD 약물치료 모니터링을 위한 부모 파트너십: 가족, 학교 전문가, 그리고 의사들 249
조정 250
부주의 행동을 보이는 학생들을 위한 조정들 250
과잉행동과 충동성을 보이는 학생들을 위한 조정들 251
조기중재 252
어린 아동들의 ADHD 판별 252
조기중재를 위한 증거기반실제 253
학령기 255
ADHD 학생들을 위한 학교 서비스 256
일반교육 교실에서 ADHD 학생들 지원하기 258
코로나19 팬데믹과 ADHD 학생들 258
전환 259
ADHD 학생들을 위한 전환 목표들 259
ADHD에 초점을 맞춘 조직들 261
사람과 상황 261
기원과 역사 261
질환으로서의 ADHD의 기원 261
초점 변화: 관찰에서 연구와 교육으로 262
개인적 이야기들 263
ADHD를 가진 성공적인 사람들 263
문학, 아동 이야기, 영화: ADHD를 가진 캐릭터들 264
미래 전망 265
예방: 새로운 연구 265
ADHD 예방 266
입증되지 않은 예방 및 치료 대안들 266
기술: 적절한 보조공학 선택 267
ADHD를 가진 개인들을 돕는 기초 공학과 앱 267
조직화 및 보조 소프트웨어 268
요약 270
참고문헌 272

제 8 장 자폐스펙트럼장애
ASD의 설명 279
ASD 정의 279
ASD 설명 281
원인 282
ASD와 관련된 용어들 282
중증도 수준 282
특성 283
사회적 의사소통과 상호작용과 관련된 ASD의 특성 283
제한적이거나 반복적인 행동과 관련된 ASD의 특성 284
출현율과 배치 286
시간에 따른 출현율 286
증가하는 출현율 288
특수교육 290
문제들과 그 해결책들 290
ASD와 관련된 문제들 290
ASD 문제들의 완화 또는 극복 292
조정 293
교수적 조정 294
행동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조정 295
조기중재 296
ASD의 조기 지표 296
기능적 의사소통 기술을 개발하는 검증된 실제 296
학교시기 298
교실 전략과 실제 298
연구기반실제와 지원 299
전환교육 303
고등학교 졸업 후 전환교육 준비 303
자폐스펙트럼장애가 있는 개인들을 위한 고용 선택권 305
중등도에서 중도 자폐스펙트럼장애가 있는 젊은 성인들을 위한 생활 선택권을 가진 고용 307
가족과 전환교육 결정 308
사람과 상황 309
기원과 역사 309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역사 309
백신을 둘러싼 잘못된 정보 311
개인 이야기들 311
일부 자폐가 있는 사람들의 경험 312
가족에 미치는 영향 312
변화를 만들기: 비브르 에 트라바예르 오트르망(다르게 살고 일하기)....................................313
미래 전망 315
예방: 새로운 연구 315
자폐스펙트럼장애 예방 315
새로운 치료들: 부모들을 위한 주의사항 315
공학: 적절한 보조공학 선택하기 317
앱 고려사항 317
부모와 교사를 위한 앱들 318
요약 320
참고문헌 322

제 9 장 지적장애
지적장애 설명 329
지적장애 정의 329
지적장애 설명 329
지적장애의 정의적 특징 331
지적장애의 유형들 332
지적장애의 중증도 결정하기 332
원인 335
지적장애의 특성 336
인지와 적응행동 간의 관계 336
지원의 필요성 발생 337
출현율과 배치 337
예상보다 낮은 출현율 337
통합 비율 338
특수교육 339
도전과 해결책 339
지적장애로 인한 도전 340
해결책으로서의 지원 341
조정과 수정 343
경도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조정 343
중등도 및 중도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교수적 수정 344
조기중재 345
조기중재 서비스 345
유아교육 346
학령기 346
기능적 교육과정 346
자기결정 347
전환 348
성인기 결과 348
전환 프로그램 349
고등교육 이후 선택지 349
지원고용 350
사람과 상황 350
기원과 역사 350
지적장애를 위한 특수교육의 시작 350
사회 정의의 발전 351
개인적 이야기들 353
새로운 존중 353
한 가족의 참여 유산 353
미래 전망 355
예방: 환경 보호 355
판별과 예방의 연결 355
공공의 잘못된 정보의 위험 356
기술: 연결과 일정 관리 357
기술의 혜택 357
자기결정을 지원하는 기술 358
기술: 지원 네트워크의 구성요소 359
요약 361
참고문헌 363

제 10 장 정서행동장애
정서행동장애 설명 372
정서행동장애 정의 372
정서행동장애 설명 372
장애인교육법 정의에 대한 우려 373
정서행동장애의 유형 375
정서행동장애의 일반적 유형 375
덜 인식되는 정서행동장애 유형 375
특성 376
외현화 행동의 특성 376
내재화 행동의 특성 377
출현율과 배치 378
다른 장애와 비교한 정서행동장애의 출현율 379
배치 379
유급, 정학, 그리고 배치 결정 379
특수교육 383
도전과 해결책 383
정서행동장애학생들이 직면하는 도전 383
이러한 도전에 대한 해결책 384
행동과 사회적 기술을 개선하기 위한 다층 체계 386
부모와 가족 참여 및 행동관리 388
조정 388
외현화 행동을 다루기 위한 조정 388
내재화 행동을 다루기 위한 조정 389
조기중재 390
어린 아동의 정서행동장애 원인 390
정서행동장애의 조기 경고신호 391
어린 아동을 위한 다층지원체계의 적용 391
학령기 392
행동과 사회기술을 개선하기 위한 다층적 틀의 실행 392
1층: 모든 이를 위한 1차 예방 -전략과 지원에 대한 초점 392
2층: 일부 학생 -중재와 지원에 대한 초점 394
3층: 소수 학생 -집중적인 중재와 지원에 대한 초점 397
전환 399
중등후 결과 399
중등후 결과 개선 399
사람과 상황 400
기원과 역사 400
정서행동장애가 있는 사람에 대한 역사적 치료 401
정서행동장애가 있는 사람에 대한 긍정적 치료의 사례 403
개인적 이야기 404
정서행동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긍정적 사례 404
정서행동장애 아동과 청소년 및 그들의 가족을 지원하는 조직들 406
미래 전망 406
예방: 정신건강 서비스에 대한 적절한 접근 406
정서행동장애의 과소판별 406
예방: 총기 폭력과 정신질환 407
기술: 현재 고려사항과 미래 가능성 409
정신건강을 다루는 기술 409
미래 가능성 409
요약 410
참고문헌 412

제 11 장 지체 및 건강장애
지체 및 건강장애 설명 423
지체 및 건강장애 정의 423
특수교육을 필요로 하는 지체 및 건강장애 423
지체 및 건강장애와 특수교육 서비스 424
지체 및 건강장애의 유형 425
주요 지체장애 425
특성 426
지체 및 건강장애의 특성 426
일부 상태의 공통 특성 427
출현율과 배치 428
각 상태의 정확한 출현율 정보는 알려지지 않음 428
교육배치 429
특수교육 429
도전과 그 해결책 429
지체 및 건강장애가 있는 학생이 직면하는 공통 도전 430
지체 및 건강장애에 대한 공통 해결책 430
조정 431
일반교육 교육과정 접근 432
물리적 환경에 대한 장벽 제거 434
조기 중재 434
질병과 상태의 조기 판별 434
신생아 선별검사가 장애의 영향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키는 방법 435
학령기: 건강 응급상황, 건강관리, 발작, 그리고 다학제팀 436
의료 응급상황에서의 교사 역할 436
가족: 학교에서의 건강관리에서 그들의 중요한 역할 437
학교에서의 발작 437
관련서비스의 역할 439
건강장애가 있는 청소년의 전환 요구 440
사람과 상황 443
기원과 역사 443
시간에 걸친 불공정하고 부당한 대우 443
시민권과 주류 사회에 대한 접근을 보장하는 장애인의 역할 444
개인적 이야기 446
둔감한 가치관이 상처 주는 태도가 된다 446
태도 변화 447
미래 전망 448
예방: 사고와 질병 448
지체 및 건강장애의 발생률을 줄이기 위한 예방 448
지체 및 건강장애의 영향 감소 449
기술: 의지학(보철학)과 로봇공학 450
신기술: 의지학 451
신기술: 로봇공학 451
요약 453
참고문헌 454

제 12 장 농과 난청
농과 난청의 기술 461
농과 난청의 정의 461
청각 과정 461
장애인교육법 정의 462
청력손실의 판별 463
신생아 선별검사와 영아 사정평가 463
청각 평가 464
청력손실의 유형 465
특성 466
청력손실의 영향 466
청력손실과 청각정보 처리능력 간의 관계 468
출현율과 배치 469
학생 수 469
배치 470
특수교육 471
문제와 해결책 471
청력손실의 문제 471
청력손실의 문제 극복 472
조정 474
난청학생을 위한 조정 474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조정 475
조기중재 476
조기중재 서비스 477
가족: 농과 난청아동을 위한 조기중재팀의 필수적 부분 477
학령기 478
통합 환경에서의 농과 난청학생들 478
청각장애학생과 난청학생을 위한 의사소통 방법 480
전환교육 481
중등후 교육 기회 481
전환지원 482
인물과 상황 482
기원과 역사 482
수어와 농공동체 482
사회정의를 향한 길 484
개인 이야기 484
더 통합적인 사회 485
지원 기관 및 단체 485
미래 전망 486
예방: 전수 선별검사와 환경 소음 노출 486
조기 발견의 발전 486
청각장애 예방 487
기술: 보청기, 임플란트, 그리고 혁신적인 소프트웨어 488
보청기의 유형 488
의학적 혁신 490
혁신적인 소프트웨어와 앱 491
요약 492
참고문헌 494

제 13 장 시각장애: 저시력과 맹
저시력과 맹의 설명 501
저시력과 맹의 정의 501
시력 과정 501
시각장애의 정의 502
저시력과 맹의 유형 503
시각장애 판별 503
시각장애의 유형과 원인 506
특성 508
시각장애의 신체적 및 학습 특성 508
놀이 510
사회적 기술 510
출현율과 배치 511
출현율 512
배치 513
특수교육 514
어려움과 그 해결책 514
어려움 514
해결책 514
조정 515
모든 시각장애 학생들을 위한 조정 515
저시력 학생들을 위한 조정 516
맹 학생들을 위한 조정 517
교실 환경에 대한 조정 517
조기중재: 운동 및 개념 발달 518
초기 운동 발달과 시력 손실 518
맹 아기들의 가족: 유아기 동안의 중요한 역할 518
학령기: 확장된 핵심 교육과정 521
시각장애학생들이 습득해야 하는 추가 기술들 521
보행지도기술 학습 522
점자 523
전환 524
시각장애가 있는 성인들의 고용과 시각장애가 없는 성인들의 비교 524
중등교육 이후 성공에 기여하는 요소들 525
인물과 상황 528
시각장애학생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발전 528
미국의 시각장애학생들 통합교육의 역사 529
오늘날 분리된 전문학교(특수학교)의 사용 529
개인적 이야기들 529
영화에서의 통합 530
시각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성취 530
미래 전망 531
예방: 의학적 발전과 의료 기술 531
기술, 보조공학, 앱, 그리고 소프트웨어의 발전 532
요약 534
참고문헌 535

제 14 장 기타 저발생률 장애: 중복장애, 시청각장애, 외상성 뇌손상
기타 저발생률 장애 설명 542
중복장애 542
중복장애 정의 542
중복장애와 관련된 특성 542
외상성 뇌손상 543
외상성 뇌손상 정의 543
외상성 뇌손상과 관련된 특성 543
시청각장애 544
시청각장애 정의 545
시청각장애와 관련된 특성 545
출현율과 배치 546
저발생률 장애의 유병률 546
배치 548
특수교육 549
조정 549
자주 사용되는 조정의 유형 549
일반교육 교육과정 접근과 지식 입증 550
조기 중재 551
영유아 조기 발견 551
조기 중재 서비스의 유형 553
가족들: 생애 초기, 행동할 때 554
조직과 기관들 554
학령기 555
효과적인 중재들 555
최중도장애학생을 위한 특성화교수 555
전환교육 557
개별화교육계획의 전환교육 구성요소 558
기능적 기술 가르치기 560
사람들과 상황들 560
기원과 역사 560
롤 모델과 변화 주도자 560
주요 역사적 전환점 561
개인적 이야기들 562
지역사회 참여 562
통합 실제 565
미래 전망 565
예방: 외상성 뇌손상(TBI) 565
외상성 뇌손상의 주요 원인 565
외상성 뇌손상 예방 566
기술: 접근성 향상 568
의사소통을 위한 기술 선택사항 568
접근성 개선을 위한 기술 선택사항 568
의학적 발전: 더 밝은 미래의 약속 570
요약 571
참고문헌 573

제 15 장 영재 및 재능아
영재 및 재능아의 정의 577
영재 및 재능아의 정의 577
영재학생 판별 578
특성 582
출현율과 배치 586
특수교육 588
도전과제들과 그 해결책들 588
도전과제들 588
해결책들 591
조정 592
조기중재 596
학령기 599
부모와 가족 602
전환 602
사람들과 상황들 604
기원과 역사 604
개인적 이야기들 607
미래 전망 610
해결해야 할 과제 610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의무화되지 않았다 610
영재 프로그램에서 소외되는 학생 집단들 612
기술: 확장되는 선택지 615
요약 618
참고문헌 619

용어집 628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