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노인복지정책을 망라한 노인복지 필독서
이 책은 총 4부 15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부 ‘노인과 노인복지’에서는 인권관점과 발달관점에서 바라본 노인과 노년기를 다루었으며(1장), 사회노년학의 노화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했다(2장). 제2부 ‘노년기의 변화와 사회적 위험’에서는 노인이 겪는 신체적·심리적 변화(3장)와 사회적 변화(4장), 그리고 노년기에 맞닥뜨릴 수 있는 전통적 위험(5장)과 신사회위험(6장)을 살펴보았다. 제3부 ‘노인복지정책’에서는 노인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제도적 도구로서 노인복지정책과 전달체계(7장)를 비롯해 노인소득보장정책(8장), 노인노동정책(9장), 노인건강보장정책(10장), 노인돌봄정책(11장), 노인주거보장정책(12장), 노인사회참여정책(13장)을 현장의 사례와 함께 자세히 안내한다. 마지막 제4부 ‘노인복지실천’에서는 노인이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하도록 지원하는 중시 및 미시적 실천을 안내한다. 노인복지실천의 패러다임 변화와 노인복지상담, 사례관리 기술을 배우고(14장), 인권관점 노인복지실천이란 무엇인가를 독자들이 명확하게 습득할 수 있도록 개념부터 실천 과정, 방법기술, 사회복지사의 역할, 관련 모델, 개입 사례까지 충실히 담아냈다(15장).
노인복지 세부정책의 생생한 사례 및 토론거리 제공
최신 데이터를 풍부하게 수록!
이 책은 부마다 도입글을 두어 각 장의 내용이 노인복지에서 함의하는 바를 상세히 소개한다. 본문에는 노인복지 관련 세부정책의 토착 사례를 다양하게 제시하여 실제로 정책이 구현되는 모습과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하였음은 물론, 각 장마다 토론쟁점과 토론거리를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비판적 사회복지실천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또한 2020년 제1판 출간 이후 새롭게 발표된 최신 통계들을 반영한 그래프, 도표와 노인복지 관련 자료들을 컬러로 수록하였다. 지금 시대의 모습을 전달하는 100여 개 이상의 풍부한 시각 자료는 독자의 이해와 흥미를 한층 높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