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국제행사와 안전관리

국제행사와 안전관리

  • 박정섭
  • |
  • 진영사
  • |
  • 2025-08-13 출간
  • |
  • 332페이지
  • |
  • 188 X 257 X 16mm
  • |
  • ISBN 9788965417132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4,75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4,7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제1장 국제행사의 이해

제1절 국제행사의 의의 20
1. 국제행사의 개념 정의 20
2. 국제행사의 성격과 특성 22
1) 국제행사의 성격 22
2) 국제행사의 특성 24
3. 국제행사의 필요성 26

제2절 국제행사의 종류와 분류 27
1. 다자간 정상회의 27
2. 국제스포츠 행사 28
3. 지방자치단체 축제 29

제3절 국제행사가 미치는 영향 31
1. 사회적 영향과 문화교류 31
1) 국가 간 문화교류 촉진 31
2) 지역사회의 문화적 역량 강화 32
3) 주민 참여와 공동체 의식 고취 33
4) 전통문화의 보존과 현대적 재해석 34
5) 사회적 통합 34
2. 경제적 효과와 지역발전 35
1) 관광산업과 연관 산업의 성장 35
2) 사회적 기반 시설의 확충 36
3) 지역브랜드 이미지 제고와 경쟁력 강화 37
4) 지역기업 및 전통산업의 성장 기회 제공 38
5) 지속 가능한 지역경제 발전 39


제2장 행사장 안전관리

제1절 안전관리의 개념과 특성 42
1. 안전관리의 개념 42
2. 안전관리의 특성 44
1) 공공재로서의 특성 45
2) 경계성과 가외성 45
3) 특수성과 복잡성 46
4) 현장 중심의 대응과 신속성 46
5) 불확실성의 관리 47

제2절 안전관리의 이론적 모형 48
1. 위기관리 모형 48
1) 국제행사의 위기 유형 49
2) 행사장 위기관리 50
2. 재난관리 모형 52

제3절 안전관리 단계와 적용 54
1. 다자간 정상회의 54
1) 사전준비 단계 55
2) 현장활동 단계 56
3) 실시 단계 57
4) 평가 및 수정 단계 57
2. 국제스포츠 행사 58
1) 안전활동 58
2) 안전활동 운영체계 59
3. 지방자치단체 축제 60
1) 단계별 검토사항 60
2) 사건ㆍ사고 발생 시 안전관리 단계 63


제3장 국제행사의 안전 위협요인

제1절 불법집회 및 시위 68
1. 집회ㆍ시위의 의의 68
1) 집회ㆍ시위의 개념 정의 68
2) 집회ㆍ시위의 유형과 특성 69
2. 집회ㆍ시위 현황 72
1) 국내 집회ㆍ시위의 변천 과정 72
2) 팬데믹 이후의 집회ㆍ시위 74

제2절 재난 및 안전사고 76
1. 재난 및 안전사고의 의의 76
1) 재난 및 안전사고의 개념 정의 76
2) 재난 및 안전사고의 유형과 특성 77
2. 재난 및 안전사고 현황 78
1) 국내 현황 및 문제점 78
2) 재난 및 안전사고의 유형별 위험 요인 80

제3절 테러와 사이버 위협 81
1. 테러 및 사이버 테러의 의의 81
1) 법률상 개념 정의 81
2) 테러 및 사이버 테러의 유형과 특성 85
2. 테러 현황 90
1) 테러리즘의 발전과 진화 90
2) 테러리즘의 글로벌 위협 91
3) 최근 테러 동향 92
4) 국내 테러 위협과 대응 과제 93


제4장 국제행사의 안전관리 법적 체계

제1절 행사장 안전 관련 법률 체계 96
1. 다자간 정상회의의 경호 및 안전관리 97
2. 국제스포츠 행사의 대테러안전활동 98
3. 지방자치단체 축제의 안전관리 98

제2절 기본적 성격의 법률 100
1. 대통령 등의 경호에 관한 법률 100
2. 국민보호와 공공안전을 위한 테러방지법 101
3. 국제경기대회 지원법 102
4.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103

제3절 지원적 성격의 법률 106
1. 국제대회지원법 107
2. 평창올림픽 특별법 108
3. G-20 정상회의 경호안전을 위한 특별법 109

제4절 개별적 성격의 법률 111
1. 경비업법 112
2. 공연법 113
3. 체육시설의 설치ㆍ이용에 관한 법률 116
4. 관광진흥법 117
5.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 119


제5장 국제행사와 민간경비

제1절 민간경비의 의의 122
1. 민간경비의 개념 정의 122
2. 공공치안과의 관계 123
3. 민간경비의 기능적 역할 124
1) 시설경비 124
2) 호송경비 126
3) 신변보호 126
4) 기계경비 128
5) 특수경비 129
6) 혼잡ㆍ교통유도경비 130
4. 현대사회에서 민간경비의 필요성 132

제2절 민간경비업무의 법ㆍ제도적 기반 134
1. 재산권 보장과 경비업무 134
2. 경비업무 범위의 한계 135
3. 경비업자와 경비원의 역할 136
1) 경비업자와 경비원의 권한 및 의무 136
2) 경비원의 위법성조각사유 137
4. 경찰권과의 관계 139
1) 경찰권의 법적 근거 139
2) 경찰권과 경비업자의 관계 140

제3절 민간경비의 전략적 활용 142
1. 민간경비 현황 142
1) 민간경비제도 142
2) 민간경비업의 현황 143
2. 민간경비의 활용 실태와 문제점 145
1) 민간경비의 활용 실태 145
2) 민간경비 활용의 한계 147
3. 민간경비의 전략적 활용 방안 149
1) 법ㆍ제도적 방안 149
2) 전문성 강화 및 교육 151
3) 민ㆍ관 협력체계 구축 151
4) 안전관리 예산 편성의 의무화 152


제6장 협력과 연대를 통한 안전관리

제1절 관계기관 및 유관기관 간의 협력체계 구축 154
1. 다자간 정상회의 154
1) 경호ㆍ안전대책기구 구성 및 운영 154
2) 관계기관의 역할과 기능 155
2. 국제스포츠 행사 157
1) 대테러ㆍ안전대책본부 구성 및 운영 157
2) 관계기관 별 주요 임무와 협력 구조 159
3. 지방자치단체 축제 162
1) 지역안전관리위원회 구성 및 운영 162
2) 관계기관 및 유관기관의 주요 역할과 기능 163

제2절 민간경비와의 협력 강화 전략 165
1. 민간경비의 역할과 법적 책임 165
1) 공경비와의 협력체계 165
2) 민간경비의 주요 임무 및 기능별 역할 정립 166
2. 민ㆍ관 협력 사례 및 효과 분석 169
1) 행사장 안전인력 배치 및 운영 사례 169
2) 보안장비 및 시스템 도입 현황 170
3) 인원 및 차량검색 운영체계 171

제3절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민ㆍ관 협력 173
1. 행사 참가자 및 시민의 안전인식 제고 173
1) 안전문화의 개념과 중요성 173
2) 시민 대상 안전 교육 및 캠페인 174
3) 참여형 프로그램 운영 174
2. 민ㆍ관 합동 훈련 및 모의 대응 시스템 운영 175
1) 민ㆍ관 협력의 필요성 175
2) 합동 훈련 체계 구축 176
3) 모의훈련의 실제 적용 사례 176
3. 지속 가능한 안전관리 체계 구축 178
1) 단기 대응에서 장기 체계로의 전환 178
2) 민간 부문의 제도적 참여 기반 마련 179
3) 지역 중심의 안전 네트워크 강화 180
4) 성과 평가 및 지속적 피드백 시스템 구축 181

제7장 기술과 혁신을 통한 행사장 안전관리

제1절 첨단 감시 및 보안 기술 184
1. 촬영 및 감시장비 184
1) 촬영 및 감사장비의 법적 정의 184
2) 촬영 및 감사장비의 유형별 특징 185
2. 지능형 CCTV와 영상 분석 기술 187
1) 얼굴인식 및 객체 탐지 기술 188
2) 군중 밀집도 분석 및 이상행동 감지 189

제2절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반의 행사장 안전관리 190
1.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의 의의 190
1)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의 개념 정의 190
2)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의 사회적 영향 195
2.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 201
1) 빅데이터 기술의 발전 동향 201
2)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 동향 208

제3절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의 안전관리 적용 사례 213
1. 실시간 밀집도 예측 및 자동 경보 시스템 213
2. 군중 흐름 분석 모니터링 시스템 214
3. 행사장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 215

제4절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반 행사장 안전관리 체계 구축 방안 215
1.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의 활용 215
1)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반 안전관리 정책 215
2)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반 행사장 안전관리 216
2.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 도입을 위한 법적 적용 방안 217
1) 통합 법률 체계 구축 217
2) 안전관리 예산 책정의 의무화 217
3) 통합관제센터 구축 및 운영 218
3.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 도입의 기대효과 219
1) 실시간 군중관리와 비상대응체계 강화 219
2) 스마트 행사장 구축을 통한 안전 효율성 강화 221


제8장 국제행사의 안전관리 실태와 제도적 과제

제1절 법ㆍ제도적 한계 224
1. 국제행사 분류체계 및 실무적 문제 224
1) 국제행사의 분류 기준 224
2) 분류체계의 적용 실태와 문제점 225
2. 안전관리 책임 구조의 혼선 226
1) 관계기관 간 책임분담의 모호성 226
2) 법령 체계의 정합성 부족과 개선 과제 227

제2절 안전관리 체계 및 운영 실태 228
1. 경호ㆍ안전활동 체계 및 운영 실태 228
1) 경호ㆍ안전활동 체계 228
2) 주요 다자간 정상회의 운영 실태 229
2. 대테러안전활동 체계 및 운영 실태 230
1) 대테러안전활동 체계 230
2) 주요 국제스포츠 행사 운영 실태 231
3. 재난 및 안전관리 체계 및 운영 실태 233
1) 재난 및 안전관리 체계 233
2) 지역축제 운영 실태 234

제3절 행사장 안전관리 운영 실태 236
1. 다자간 정상회의 236
1) 보안구역 설정과 장비 운용 236
2) 경호구역 지정 및 통제 조치 239
3) 장소에 의한 경호ㆍ안전활동 240
2. 국제스포츠 행사 243
1) 보안구역 설정과 장비 운용 243
2) 이원적 구조의 대테러안전활동 245
3. 지방자치단체 축제 248
1) 안전관리 인력 운영 248
2) 시설별 안전대책 249

제4절 민ㆍ관 협력체계 실태 251
1. 민ㆍ관 협력체계 미흡 251
1) 공경비 주도의 안전관리 251
2) 민간경비 주도의 안전관리 251
2. 첨단장비 활용 실태와 한계 252
1) 첨단장비 활용 실태 252
2) 첨단장비 활용의 한계와 과제 255


제9장 국제행사의 안전성 강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

제1절 법ㆍ제도 정비와 입법론 258
1. 국제행사 분류기준의 정비 258
2. 국제행사 안전관련 법규의 정비 260
3. 안전기본법의 신설(가칭: 국제행사안전대책법) 261
1) 제안이유 261
2) 주요내용 262

제2절 통합 안전관리 기구의 설치 263
1. 통합 안전관리 기구의 구성 263
1) 소관 부처별 안전관리위원회 263
2) 국제행사 안전관련 대책기구 265
3) 국제행사안전대책기구 구성(안) 266
2. 통합 안전관리 기구의 운영 방안 266
1) 행사 주체별 안전관리 기구의 운영 실태 266
2) 통합 안전관리 기구의 운영체계 제안 267

제3절 안전성 강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269
1. 전문인력의 확보 269
1) 안전기관별 전문인력 확보 방안 269
2) 민간전문인력 확보 방안 270
2. 첨단장비 도입과 활용 271
1) 첨단장비 도입의 필요성 271
2) 첨단장비의 활용 방안 272
3. 새로운 경비업무의 도입 273

제4절 안전사고 예방과 대응 275
1. 불법 집회ㆍ시위의 예방과 대응 275
1) 집회ㆍ시위 문화 개선 275
2) 법적ㆍ제도적 개선 276
2. 재난 및 안전사고의 예방과 대응 278
1) 사전 안전 점검과 계획 수립 278
2) 안전 교육ㆍ훈련 및 인식 제고 279
3) 첨단기술을 활용한 통합관리체계 구축 280
3. 테러 예방과 대응 281
1) 행사장 보안 강화 281
2) 국제 정보 공유 282
3) 사이버 방어체계 구축 283
제10장 사고 사례 분석과 교훈

제1절 불법집회 및 시위 286
1. 주요 사례 개관 286
2. 주요 사례 분석 287
1) 2018 평창동계올림픽 반대 집회 287
2) 2012 서울핵안보정상회의 반대 집회 288
3) 2021 일본 도쿄올림픽 반대 집회 289
4) 2016 프랑스 노동법 반대 시위 290

제2절 재난 및 안전사고 291
1. 주요 사례 개관 291
2. 주요 사례 분석 292
1) 2022 이태원 참사 292
2) 2014 판교 공연장 환풍구 붕괴사고 294
3) 2009 창녕 화왕산 억새 태우기 화재사고 295
4) 2005 상주콘서트 압사사고 296
5) 2010 독일 러브 퍼레이드 압사 사고 297
6) 2001 일본 아카시 시민 여름축제 불꽃놀이 압사 사고 298

제3절 테러 및 사이버테러 299
1. 주요 사례 개관 299
2. 주요 사례 분석 301
1) 2024 러시아 모스크바 공연장 총격ㆍ방화 테러 301
2) 2017 챔피언스리그 도르트문트 폭탄테러 302
3) 2015 프랑스 파리 테러 303
4) 2013 미국 보스턴 마라톤 폭탄 테러 304
5) 1972 뮌헨 올림픽 테러 사건 306
6) 주요 사이버 사고 사례 307

참고문헌 310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