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유일하지도, 신비롭지도 않다
무수한 ‘가능세계’를 넘나드는 분석철학
어떻게 명료하고 기본적인 개념들을 사용해 세계를 신비스럽지 않은 방식으로 해명할 수 있을까? 데이비드 루이스는 형이상학 이론들과 그에 기초한 개별적 분석들로 세계의 사물들이 어떤 식으로 존재하고 배열되어 있는지 서술한다. 현실 세계 외에 무한히 많은 가능세계들이 존재한다는 가능세계 실재론으로 다채로운 철학적 분석의 장을 연다. 루이스가 마련한 사유의 방법들과 개념적 도구들은 다양한 문제를 탐구하는 광범위한 철학 분야들에서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다. 루이스가 “철학자들의 철학자”라고 불리는 이유다.
이 책은 우리가 철학적으로 사고하는 데 중요한 자원이자 도구인 루이스의 철학적 사유를 열 가지 키워드로 해설한다. 먼저 루이스의 분석들을 관통하는 두 형이상학적 논제, ‘양상 실재론’과 ‘흄적 수반 논제’를 살핀다. 곧이어 양상, 자연법칙, 반사실 조건문, 인과, 지식 등 다양한 개념에 대한 루이스의 개별적 분석들을 톺아본다. 형형색색의 타일들이 하나의 큰 그림을 이루는 루이스의 철학적 작업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루이스가 마련한 거대한 지적 보고의 문을 열어 보자.
데이비드 루이스(David Lewis, 1941∼2001)
현대 영미철학의 대표적 철학자다. 1941년 미국의 오하이오주에서 태어났다. 하버드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고, 1970년부터 2001년 사망할 때까지 프린스턴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지냈다. 형이상학, 언어철학, 논리철학, 심리철학, 과학철학, 인식론, 윤리학 등 철학의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이론들을 발전시켰다. 특히 가능세계 이론, 반사실 조건문에 대한 의미론, 인과 관계에 대한 분석, 기능주의 이론 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대표적 저서로 ≪협약≫(1969), ≪반사실 조건문≫(1973), ≪세계의 다수성에 대하여≫(1986), ≪집합의 부분들≫(1991)이 있고, 논문집으로 ≪철학 논문집 1, 2≫(1983/1986), ≪철학적 논리학 논문집≫(1998), ≪형이상학과 인식론 논문집≫(1999), ≪윤리학과 사회철학 논문집≫(2000)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