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적인 글로벌경영은 다음의 세 단계로 나누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첫 단계에서는 한국기업이 처해 있는 글로벌경영환경에 대한 철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즉 WTO로 대표되는 새로운 국제무역 및 글로벌금융환경, 각국의 상이한 정치적·문화적 환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이와 같은 글로벌경영환경에 대한 이해 하에 구체적인 글로벌전략을 수립한다. 이 단계에서는 전반적인 글로벌전략의 수립과 함께 수출, 계약, 해외직접투자, 국제합작투자와 전략적 제휴, 해외인수합병과 같은 다양한 해외시장진출전략을 구사하여야 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이러한 글로벌전략을 통해서 전세계적으로 배치된 자회사와 본사간의 효과적인 통합과 조정이 필요하다. 즉 인적자원, 마케팅, 생산, 연구개발, 재무 및 회계기능을 전세계적으로 효과적으로 통합 및 조정하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한다. 본서는 글로벌경영에 필요한 의사결정을 위와 같은 세 단계로 파악하고 그것을 각각의 부와 장으로 나누어서 이들 의사결정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상과 같은 본서의 구성체계는 과거 국제경영에 대한 교재가 국제무역, 국제금융, 해외직접투자, 국제경영정책, 국제마케팅 등과 같이 기능별로 구성이 되어 각 장간의 연계성이 부족한 취약점을 극복한 것이다. 본서는 국제경영학의 최신이론인 초국적기업이론을 중심으로 하여 글로벌경영의 과제를 전략과 경영관리 측면에서 글로벌화와 현지화를 동시에 추구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본서를 집필하는 데에는 저자가 미국의 펜실베이니아대학교의 와튼경영대학과 뉴욕대학교의 스턴경영대학, 싱가포르국립대학, 고려대학교, 카이스트경영대학에서 주로 MBA수준의 국제경영론과 다국적기업론을 강의할 때 작성하였던 강의노트가 골격을 이루었다.
본서에서 다루는 사례들은 각각 서유럽과 동유럽, 동남아시아, 미국, 중국, 러시아, 일본, 싱가포르, 브라질, 호주, 북한과 같이 세계경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국가 또는 지역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본서에 소개된 사례는 전자, 소비재, 금융, 중장비, 운동화, 의류, 자동차, 가전, 중전기, 컴퓨터, 그리고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IT산업과 엔터테인먼트 같이 글로벌경영이 중요한 산업들의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기 다른 지역적 포커스와 여러 산업을 포괄하는 사례를 공부함으로써 우리는 글로벌기업운영의 근본적인 원리를 배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지역의 경제적·정치적·문화적 환경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그동안 12차에 걸친 개정과정 동안, 원고정리와 교정작업에 도움을 준 여러 연구조교와 박영사 편집부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한다. 특히 이번 기회를 통하여 항상 일에 파묻혀 지내는 저자를 너그러운 마음으로 이해해 주는 저자의 가족에게 깊은 감사를 드리며 이 책을 바치고자 한다.
2025년 8월
저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