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기계기사

- 2023년도 일반기계기사 제1회 필기, 실기 합격률
- 일반기계기사 시험은 필기와 실기로 시행되며 필기 시험은 5과목으로 '재료역학, 기계열역학, 기계유체역학, 기계재료 및 유압기기, 기계제작법 및 기계동력학'이며 객관식 4지 선다형 방식이며 과목마다 20문제씩 총 100문항이 출제된다.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전 과목의 평균 점수가 60점 이상되고, 과목당 점수는 최소 40점 이상을 넘겨야 한다. 2차 실기는 복합형 방식이며 '일반기계설계 실무 과목'으로 주관식 필답형과 작업형이 실시된다. 작업형의 경우 도면해독으로 구성 부품에 대한 설계 능력을 평가하는 문제가 출제되며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총 60점 이상을 받아야 하며 배점은 필답형과 작업형이 각각 50점씩이다.2023년도 일반기계기사 시험은 정기기사 1회, 2회, 4회에 시행되며 제1회 필기 접수는 1.10~1.19, 추가접수는 2.7~2.8까지였으며, 시험은 2.13~3.15에 시행되었고 실기 접수는 3.28~3.31, 추가접수는 4.16~4.17, 시험일은 4.22~5.7까지로 필답형은 4.23에 시행되었다.제1회에 시행된 일반기계기사 난이도를 확인해보면 필기 대상자는 7,884명, 응시자는 4,688명, 합격자는 2,162명으로 제1회 필기 합격률은 46.11%이다. 2022년도 일반기계기사 1회 필기는 44.81%로 올해 합격률과 큰 차이는 없지만 2023년도 합격률이 더 높다. 제1회 실기의 경우 2,572명 중에서 2,243명이 응시하여 922명이 합격하여 합격률은 41.1%이다.
- 한지영 기자 | 2023-06-23 10:56:13

- 일반기계기사 자격증의 다양한 활용분야
- 일반기계기사는 기계공학의 원리를 응용하여 각종 기계기구, 산업설비, 생산시스템 등을 설계 및 생산 작업, 공정관리, 품질관리, 생산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기계역학, 재료역학 및 공학, 공작법 등 기계에 관한 학문을 바탕으로 전 산업분야에서 주어진 동작으로 보다 능률적으로 완수할 수 있는 기계 및 기계구조물을 해석하고 설계하는 직무를 수행한다.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시험을 통해 자격증 취득이 가능하며 제조업체, 플랜트산업체, 에너지관련산업체, 반도체 및 통신산업체, 방위산업체 등으로 취업이 가능하다. 주로 기계제조업체의 설계 및 제조부서, 기술관리 및 용역부서, 부품설계 및 공정설계 분야로 진출한다. 공무원을 준비하는 경우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 5%가 가산된다.또한 일반기계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전기사업법에 의한 기계안전관리자, 액화석유가스의 안전 및 사업관리법에 의한 가스용품제조시설의 안전관리책임자,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의한 특정설비제조시설이나 냉동기제조시설 또는 용기제조시설의 안전관리책임자, 해양오염방지법에 의한 해양환경감시원, 송유관사업법에 의한 송유관사업체의 안전관리책임자 등으로 활동할 수 있다. 소음 · 진동규제법에 의해, 총 동력 합계 5,000마력 이상인 사업장에는 환경기술인을 두어야 하는데, 환경기술인의 자격기준은 소음, 진동기사 2급 이상의 기술자격자 또는 기계분야 기사, 전기분야 기사 각 2급 이상의 자격소지자로 환경분야에서 2년 이상 종사한 자로 일반기계기사도 해당된다. 그리고 소방시설 설치 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소방공무원이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건축, 기계, 전기, 가스와 관련된 자격을 취득하는 경우, 소방검사자로서의 자격도 부여된다.
- 심승희 기자 | 2023-06-23 09:48:24

- 일반기계기사 필답형 실기 회차별 시행일자
- 일반기계기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주로 기계제조업체의 설계 및 제조부서, 기술관리 및 용역부서, 부품설계 및 공정설계로 진출한다. 시험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며 필기와 실기로 시행된다. 1차 필기는 객관식 4지 선다형으로 하나의 문제에 4개의 보기가 주어진다. '재료역학, 기계열역학, 기계유체역학, 기계재료 및 유압기기, 기계제작법 및 기계동력학' 5과목으로 과목마다 20문제가 출제된다.일반기계기사 실기는 필기 합격자를 대상으로 응시가 가능하며 시험과목은 '일반기계설계 실무'로 필답형과 작업형이 모두 실시된다. 필답형 시험 시간은 2시간으로 배점은 50점, 작업형은 5시간으로 배점은 50점이다.2023년도 일반기계기사 일정은 정기기사 1회와 2회, 4회에 실시된다. 실기 시험은 필답형과 작업형이 분리되어 실시되며 작업형 시험일은 원서접수 기간에 선택 할 수 있지만, 필답형은 종목에 따라 첫째주 토요일이나 일요일에 실시된다. 제1회, 제4회는 첫째주 일요일, 제2회는 토요일에 시행되기 때문에 제1회 필답형 실기는 4/23(일), 제2회 시험은 7/22(토), 제4회 시험은 11/5(일)에 실시된다.
- 심승희 기자 | 2023-06-13 11:13:25

- 일반기계기사 CBT 시험 운영시간은?
- 일반기계기사 시험은 필기와 실기로 실시가 되며 1차 필기는 객관식 4지 택일형으로 모두 5과목이다. '재료역학, 기계열역학, 기계유체역학, 기계재료 및 유압기기, 기계제작법 및 기계동력학' 으로 과목마다 20문제씩 총 100문항이 출제된다. 시험 시간은 과목당 30분으로 총 2시간 30분이다. 필기 시험은 CBT방식이기 때문에 컴퓨터와 마우스로 응시를 하게 되며 시험 당일 바로 본인의 결과를 알 수 있다.일반기계기사 CBT 운영 시간은 각 회차별 수험자 주요사항 안내 공지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CBT시험은 제1부에서 제6부까지 실시가 되며 소속기관과 시험장별로 차이가 있다. 2023년도 제1회에 시행된 필기 시험을 기준으로 2시간 이하 종목 시험은 1,3,5부 또는 2,4,6부에 시행되었고 2시간 초과 종목 시험은 1,4부 또는 2,5부에 시행이 되었다. 1부는 9시, 2부는 10시 3부는 11시 30분, 4부는 13시, 5부는 14시 30분, 6부는 15시 30분에 시작되며 입실시간은 시험 20분전까지이다. 일반기계기사CBT 시험 시간은 원서접수 시 선택하는 응시 지역 및 시험장에 따라 달라지며 원서접수 시, 구체적인 시험장 정보와 찾아가는 길, 입실시간과 수용인원을 모두 확인할 수 있다.일반기계기사 시험은 2024년부터 기계설계기사와 통합이 되며 시험과목이 변경된다. 필기의 경우, 기존 5과목에서 4과목으로 변경되면서 '기계제도 및 설계, 기계재료 및 제작, 구조해석, 열·유체 해석'으로 시행된다. 과목수가 바뀌기 때문에 시험 문항은 80문항으로 줄어들고, CBT 시험 시간 또한 2시간 30분에서 2시간으로 변경된다.
- 김상경 기자 | 2023-06-13 10:06:25

- 일반기계기사 개편 후 변경되는 필기 시험과목은?
- 일반기계기사는 기계역학, 재료역학 및 공학, 공작법 등 기계에 관한 학문을 바탕으로 전 산업분야에서 주어진 동작으로 보다 능률적으로 완수할 수 있는 기계 및 기계구조물을 해석하고 설계하는 직무를 수행한다. 일정 자격조건을 갖추어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일반기계기사 시험을 통해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일반기계기사 자격증 시험은 1차 필기, 2차 실기로 시행된다. 먼저 준비해야 하는 필기 시험은 5과목으로 '재료역학, 기계열역학, 기계유체역학, 기계재료 및 유압기기, 기계제작법 및 기계동력학'이며 객관식 4지 택일형으로 과목마다 20문제씩 출제된다. 시험 시간은 과목당 30분으로 총 2시간 30분이다.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하여 필기 과목당 점수가 40점 이상이 되고 전 과목 평균이 60점 이상 되어야 합격하게 된다.일반기계기사 시험은 2024년부터 기계설계기사와 통합되어 시험과목이 변경된다. 기존에 5과목으로 실시되었던 필기 과목은 '기계제도 및 설계, 기계재료 및 제작, 구조해석, 열·유체역학' 4과목으로 변경되어 총 시험 문항수는 100개에서 80개로 변경되고 시험 시간은 2시간 30분에서 2시간으로 바뀐다. 시험의 합격기준은 동일하다.
- 심승희 기자 | 2023-06-09 08:50:10

- 일반기계기사 자격시험의 응시자격 조건은?
- 일반기계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자격증을 취득하면 주로 기계제조업체의 설계 및 제조부서, 기술관리 및 용역부서, 부품설계 및 공정설계 분야로 진출한다. 기계제작기술을 비롯한 기계공학기술은 산업 전반에 걸쳐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연관산업도 매우 광범위하기 때문에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기계분야의 기술인력수요는 전통적인 기계공학분야 뿐만 아니라 첨단산업이나 환경, 에너지, 첨단정밀산업, 우주항공산업, 의공학 등 새로운 분야에서도 기계공학적인 기술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기술인력의 전망은 밝은 편이다.자격증은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시험을 통해 취득할 수 있으며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있다. 관련분야 기사 자격증 소지자나 산업기사 취득 후 1년 경력, 기능사 취득 후 3년 이상의 경력이 있는 자, 4년제 대학의 관련학과 졸업자 혹은 졸업예정자, 3년제 대학 졸업 후 1년 이상의 경력 혹은 2년제 졸업 후 2년 이상의 경력이 있는 자, 기사 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자나 산업기사 수준의 훈련과정 이수 후 2년 이상의 경력이 있는 자, 4년 이상 동일직무분야에서의 경력이 있는 자가 해당된다. 관련 학력 및 전공, 경력이 전혀 없다면 학점은행제를 통해서도 자격 조건을 충족할 수 있다.
- 김상경 기자 | 2023-06-09 08:42:15

- 일반기계기사 필기 시험 과목과 시험시간
- 일반기계기사는 재료역학, 기계열역학, 기계 유체역학, 기계재료 및 유압기기, 기계제작법 및 기계동력학 등 기계에 관한 지식을 활용하여 일반기계 및 구조물을 설계, 견적, 제작, 시공, 감리 및 기능 인력에 대한 기술지도 감독을 하며 주어진 조건보다 더 능률적으로 실무를 완수하도록 하는 일을 수행한다.1차로 시행되는 일반기계기사 필기 시험은 객관식 4지 선다형으로 '재료역학, 기계열역학, 기계유체역학, 기계재료 및 유압기기, 기계제작법 및 기계동력학'이며 과목당 20문제씩 총 100문항이 출제 된다. 시험 시간은 과목당 30분씩으로 2시간 30분이며 CBT방식으로 컴퓨터로 응시하게 된다. 시험 당일 답안지를 제출하면 본인의 합격 여부 및 득점 내용을 알 수 있다.현장에서의 업무 영역, 인력 활용 등 현장 요구에 따라 일반기계기사와 기계설계기사 자격증은 2024년부터 '일반기계기사'로 통합된다. 통합 후 일반기계기사 필기 시험과목은 '기계 제도 및 설계, 기계 재료 및 제작, 구조 해석, 열·유체 해석'으로 변경되며, 문항은 100개서 80문항으로 변경되고 시험 시간은 2시간 30분에서 2시간으로 변경된다. 시험의 합격 기준은 기존과 동일하게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전 과목 평균이 60점 이상 되고 40점 미만이 되는 과목이 없어야 한다.
- 현경선 기자 | 2023-05-30 08:33:35
001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