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보험업계, 'IFRS17 도입' 앞두고 보험계리사 모시기 치열
- [서울파이낸스 서지연 기자] 새로운 회계제도인 국제회계기준(IFRS17) 도입을 앞두고 보험계리사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높은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해 보험사간 스카우트 경쟁이 치열하다.보험계리사는 보험 관련 회계 전문가를 말한다. 보험부채 시가평가를 골자로 한 IFRS17 도입과 자본 변동성 확대 등 위험 요인을 반영한 K-ICS 시행을 앞두고 보험료와 책임준비금을 산출하는 보험계리사의 역할은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국내 보험사의 보험계리사는 949명으로 전년 동기 894명 대비 55명(6.15%) 늘어났다.생명보험사와 손해보험사 모두 대형사에 계리사가 쏠려 있었다. 가장 많은 계리사를 보유하고 있는 곳은 삼성화재(126명), 삼성생명(124명)이다. 이어 교보생명(64명), 현대해상(60명), 한화생명(54명), KB손해보험(49명) 순으로 많았다.중소형사 가운데에선 신한생명이 37명으로 증가폭이 뚜렷했다. 이어 한화손해보험(31명), 메리츠화재(29명), 미래에셋생명(22명) 순으로 보험계리사가 많았다.보험업계 관계자는 "IFRS17 도입을 앞두고 수시로 계리사 채용을 하고 있다"며 "계리사는 상품부서뿐만 아니라 고객 서비스 업무 등에도 꼭 필요한 인력"이라고 말했다.하지만 늘어난 수요 대비 공급이 턱없이 부족해 보험사들은 인력 충원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국내 보험계리사는 올해 상반기 기준 949명을 포함해 1500명 가량이다.보험업계는 보험 부채 평가가 원가 기준에서 시가 기준으로 바뀌는 IFRS17 준비를 위해선 계리사 3000명 이상이 필요하다고 본다. 현재 공급이 수요의 절반밖에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이 때문에 보험사들은 경험이 많은 베테랑 계리사를 웃돈을 주고 스카우트하는 경우가 빈번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신입사원 채용 시 계리사 자격증 보유자는 별도로 뽑고 있으며 기존 직원들에 대해서도 계리사 자격증 취득을 독려하고 있다.이에 금융당국은 보험계리사 인력난 해소로 보험업계의 숨통을 트여주기 위해 시험 기준 완화를 예고했다. 당국은 내년부터 2차 시험에서 60점 이상을 얻은 과목은 그해부터 5년 동안은 합격으로 인정하고, 1차 시험을 면제하는 대상도 늘리기로 했다.김규동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과거에는 표준위험률·이율을 이용해 보험료를 산출해 보험계리사의 역할이 제한적이었지만, 보험가격 자유화 이후 다양한 보험요율 산출, 정교한 지급여력 산출방식 도입, IFRS17 도입 등으로 보험계리사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출처 : 서울파이낸스(http://www.seoulfn.com)
- 에듀채널 | 2018-08-30 10:28:22

- 재생에너지 비중 어떻게 늘리나? '재생에너지 2030' 계획
-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까지 늘리는 ‘재생에너지 2030’의 구체적인 이행 계획이 나왔다.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2월19일 오전 서울 상암동 에너지드림센터에서 백운규 장관 주재로 관계부처, 지자체, 시민단체, 업계, 학계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재생에너지 2030 이행 계획안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산·관·학·연 전문가들로 구성된 TF가 6개월 여 동안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해 마련한 것이다.계획의 골자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20%까지, 누적 설비용량을 63.8GW까지 끌어올린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신규 설비용량의 95% 이상을 태양광, 풍력 등 청정에너지로 공급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 재생에너지 2030 계획 발표<사진제공=산업통상자원부> 국민 참여 확대주택, 건물 등에 태양광을 설치하는 도시형 태양광 보급 사업을 확대한다. 여기서 생산한 전력 가운데 소비한 전력을 제하고 남은 잉여 전력은 현금 정산하는 등 상계거래제도를 개선한다. 또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 의무화 등을 통해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하는 건축물을 확산한다. 이를 통해 2022년까지 30가구당 1가구, 2030년까지 15가구당 1가구에 태양광을 보급하겠다는 계획이다.협동조합 등 소규모 사업에 대한 지원도 확대해 협동조합이 참여한 사업이나 시민참여펀드가 투자한 사업 등에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또 군 시설물 옥상 등 유휴 국유재산을 활용해 재생에너지 보급에 필요한 부지를 마련한다.농촌 태양광도 확대한다. 농업진흥구역 내 염해간척지, 농업진흥지역 이외 농지, 농업용 저수지 등에 태양광을 설치해 2030년까지 10GW 규모를 보급한다. 농사와 태양광 발전을 병행하는 영농형 태양광 시범사업도 추진한다. 지자체 주도의 계획입지제도 도입주민 수용성과 환경성을 사전에 확보하고 부지를 계획적으로 조성하기 위해 2018년 중 신재생에너지법을 개정해 계획입지제도를 도입한다.광역지자체가 재생에너지 발전 부지를 발굴하면 관계부처가 협의해 입지적정성을 검토, 재생에너지 발전지구로 지정하고 지자체는 이 부지를 민간사업자에게 공급하면 사업자가 지구를 개발해 발전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나오는 이익금은 민간과 지자체가 공유한다. 대규모 프로젝트 추진 1단계로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민간과 공공기관이 제안한 프로젝트 가운데 5GW 규모의 프로젝트를 집중적으로 추진한다. 정부는 프로젝트가
- 에듀채널 | 2018-01-10 09:58: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