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태양광)의 주요 업무와 응시자격
-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태양광)는 태양광, 풍력, 수력, 연료전지의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 시스템에 대한 공학적 기술이론 지식을 가지고 독립적인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및 건축물과 시설 등을 기획, 설계, 시공, 운영, 유지 및 보수하는 업무를 담당하며 신재생에너지 발전소나 모든 건물 및 시설의 신재생에너지발전시스템 인허가,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 시공 및 감독, 신재생에너지발전시스템의 시공,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유지보수 업무 등을 수행한다.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태양광)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관련 응시자격을 갖춰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 시험에 합격을 해야 한다.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태양광) 시험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에서의 기사 자격증이 있거나 하위 자격증인 기능사 및 산업기사 취득 후 관련 실무 경력이 있어야 한다. 또는 4년제 이상의 대학에서 관련 학과를 전공하면 응시가 가능하며 2년제 이상의 전문대 졸업생일 경우에는 실무경력이 추가로 필요하다. 기술자격증이나 전공자가 아니라면 동일 또는 유사 분야에서의 4년 이상 경력이 있어야 시험의 응시가 가능하다.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태양광)의 응시가능 여부는 큐넷에서 제공하는 응시자격 자가진단을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 김문성 기자 | 2022-03-23 12:17:50

- 전기기능사 시험의 응시인원과 합격률은?
- 전기기능사는 전기에 필요한 장비 및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기, 정지기, 제어장치 또는 빌딩, 공장, 주택, 및 전력시설물의 전선, 케이블, 전기기계 및 기구를 설치, 보수, 검사, 시험 및 관리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시험은 연령, 학력, 경력에 관계없이 응시가 가능하다.전기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전기가 사용되는 모든 전기공사 시공업체로의 취업이 가능하며 활용도가 높아 매년 응시인원이 몰리는 시험이기도 하다. 전기기능사 시행기관인 한국산업인력공단의 통계 자료에 따르면 2020년도의 필기 응시인원은 49,176명이며 합격자는 18,313명으로 합격률은 37.2%였으며 전기기능사의 실기 응시인원은 31,921명, 합격자는 21,432명으로 합격률은 67.1%였다. 실기 시험은 필기 시험에 합격해야 응시가 가능하다. 특히 전기기능사는 1차 필기의 합격률이 낮기 때문에 각 과목에 대한 학습전략을 세워 준비해야 한다.
- 강애림 기자 | 2022-03-23 12:09:56

- 토목기사 자격증의 합격기준과 활용처는?
- 토목기사는 도로, 공항, 항만, 철도, 해안, 터널, 하천, 교량 등 토목사업에 대한 조사와 연구, 계획, 설계, 시공, 감리, 유지, 보수 등의 전반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전문가이다. 토목기사 시험은 1차 필기와 2차 실기로 실시가 된다. 필기 시험은 응용역학, 측량학, 수리학 및 수문학,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토질 및 기초, 상하수도공학으로 6과목이며 객관식 4지 택일형으로 실시된다.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이 되고 전 과목의 평균 점수가 60점 이상이 되어야 합격기준에 들게 된다. 토목기사의 실기는 토목설계 및 시공 실무의 필답형 시험이며 100점을 만점으로 60점 이상을 받아야 최종적으로 합격하게 된다.토목기사 자격증을 취득하게 되면 종합 및 전문건설업체, 토목엔지니어링회사, 포장전문공사업체, 상하수도전문공사업체, 철도궤도전문공사업체로 취업이 가능하며 정부투자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기술직공무원으로 활동하거나 관련 연구소에서 건설기술과 관련한 연구업무를 맡기도 한다. 경력을 쌓아서 기술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에는 개인 또는 공동으로 창업도 가능하다.
- 한지영 기자 | 2022-03-23 11:57:04

- 자동차정비기능사와 관련 자격증의 응시자격
- 자동차정비기능사는 각종 수동공구, 동력공구 및 점검장비를 이용하여 엔진, 새시, 전기장치 등의 결함이나 고장부위를 진단하고 알맞은 부품으로 교체하거나 수리하는 직무를 수행하는 전문가이다. 자동차정비기능사 시험은 연령, 학력, 경력, 성별에 제한받지 않고 응시가 가능한 시험으로 자동차에 대한 기초를 다루며 산업기사, 기사, 기능장 시험 응시에 도움을 준다.자동차정비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를 종사하게 되면 자동차정비산업기사의 응시자격이 되고, 3년 이상 종사한 경우 자동차정비기사 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7년이상 실무에 종사하게 되면 자동차정비기능장 시험에 응시가 가능하다.자동차정비기능사의 필기 시험은 3과목으로 자동차엔진, 자동차섀시, 자동차전기 및 안전관리이며 전 과목에서 혼합되어 문제가 출제되며 실기 시험은 자동차정비 작업에 대한 작업형으로 실시가 된다.자동차정비기능사 시험은 자격제한이 없기 때문에 시험일정을 체크한 후 큐넷을 통해 응시원서를 접수하면 된다.
- 김상경 기자 | 2022-03-23 11:34:50

- 용접기능사 수행직무와 전망, 준비해야 하는 시험과목은?
- 용접기능사는 응시자격에 제한이 없어 연령, 학력, 경력, 성별, 지역 등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자격증 취득 후에는 각종 기계나 금속구조물 및 압력용기 등을 제작하기 위하여 전기, 가스 등의 열원을 이용하거나 기계적 힘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용접장비 및 기기를 조작하여 금속과 비금속 재료를 필요한 형태로 융접, 압접, 납땜작업을 수행하며 용접부위를 손질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용접점이나 절단선을 표시하고, 용접물의 재료, 두께, 형태 등을 파악하여 적합하게 용접장비를 조정한 후 공작물을 위치시키고 적절한 전극, 용접봉, 토치팁 및 기타 필요한 공구를 사용하여 접합부나 이음매를 용접하거나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는 작업을 담당하게 된다. 용접의 활용범위가 광범위해지고, 기술개발을 통한 고용착 및 고속 용접기법이 개발되고 있어 현장적용능력을 갖춘 숙련기능인력에 대한 수요가 예상되지만 기능인력의 수요는 기술인력과는 달리 용접 자동화의 영향으로 자동차 생산공장 등 자동용접이 가능한 분야에서는 점차 감소할 전망이다.또한 수작업으로 용접을 진행하던 조선업 등에서 전기용접이 CO2용접으로 대체되고 있고, 기계제조 분야 등에서는 제조공장이 해외로 이전함에 따라 용접인력 수요의 감소요인이 되고 있다.용접기능사의 필기는 3과목이며 용접일반, 용접재료, 기계제도(비절삭부분)으로 실시가 되며 실기 시험은 일반 용접작업 실무에 대한 작업형 시험으로 시행된다.
- 한지영 기자 | 2022-03-22 12:51:41

- 전기산업기사 하는 일과 2022년도 시험일정은?
- 전기산업기사는 응시자격을 갖춘 자가 산업인력공단에서 실시하는 시험에 합격하여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한다. 전기산업기사의 자격증을 취득한 후의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다. 전기기계기구의 설계, 제작, 관리 등과 전기설비를 구성하는 모든 기자재의 규격, 크기, 용량 등을 산정하기 위한 계산 및 자료의 활용 그리고 전기설비의 설계, 도면 및 시방서 작성, 점검 및 유지, 시험작동, 운용관리 등에 있어 전문가인 역할 및 전기안전관리 담당자로서의 내용들을 수행하게 된다.전기산업기사의 시험은 필기와 실기로 시행이 되며 올해 산업기사 1회, 산업기사 2회, 기사 3회 일정에 따라 실시가 된다. 제1회 필기 원서접수는 1월 25일~1월 28일이며 시험은 3월 2일~3월 27일, 제2회 필기 접수는 3월 29일~4월 1일이며 시험은 4월 17일~4월 30, 제3회 필기시험의 원서접수는 6월 7일~6월 10일, 시험은 7월 2일~7월 22일에 실시가 된다. 전기산업기사 실기 시험일정은 1회 접수가 4월 5일~4월 8일 시험은 5월 7일~5월 21일이며 제2회 실기 접수는 6월 21일~6월 24일, 시험일은 7월 24일~8월 5일이며 제3회 실기 접수는 9월 5일~9월 8일, 시험일은 10월 16일~10월 28일에 실시된다. 전기산업기사 시험일에 따른 원서접수는 큐넷 사이트를 통해 선착순으로 진행이 되기 때문에 일정 정보를 잘 체크해두어야 한다.
- 김상경 기자 | 2022-03-22 12:31:01
12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