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자산업기사의 시험 방식과 2022년도 일정
- 전자산업기사는 전자기기 및 기초적인 전자회로 설계, 전자제품 생산 및 관리, 보수, 수리하는 작업을 담당하며 부품가공 및 조립, 검사 등의 작업전반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시험에 합격해야 자격증 취득이 가능하다. 시험은 1차 필기와 2차 실기로 실시가 된다. 필기의 경우 객관식 4지 택일형이며 과목은 '전자회로, 전자기학 및 회로이론, 전자계산기일반, 전자계측'으로 4과목이다. 과목마다 20문항이 출제되기 때문에 총 80문제가 출제 된다. 전자산업기사의 2차 실기는 전자회로설계 및 계측작업에 대한 작업형으로 실시가 된다. 기존에는 회로스케치, 조립 및 측정으로 총 4시간 30분 동안 비공개로 실시가 되었으나 2021년부터 회로스케치, 회로 및 펌웨어 설계에 대한 3문제로 공개가 되었다. 1차 필기 시험의 제1회 시험은 3월 2일~3월 17일로 종료가 되었다. 다음 제2회 시험일은 4월 17일~4월 30일이며 2022년도 마지막 제4회 필기 시험일은 9월 14일~10월 3일이다. 실기 시험의 경우 제1회가 5월 7일~5월 21일에 실시되며 제2회 시험은 7월 24일~8월 5일, 제4회 시험은 11월 19일~12월 2일에 시행이 될 예정이다.
- 강애림 기자 | 2022-04-01 08:10:56

- 토목산업기사 변경된 시험 방식과 합격기준은?
- 토목산업기사는 토목 관련업체로 진출시 우대받을 수 있는 자격증이다. 종합 및 전문건설업체, 토목엔지니어링회사, 포장전문공사업체, 상하수도전문공사업체, 철도궤도전문공사업체 등으로도 진출이 가능하며 관련 연구소에서 건설기술과 관련한 연구업무를 맡거나 지방자체단체나 정부투자기관에서 기술직 공무원으로도 일을 할 수 있다.시험은 1차 필기, 2차 실기로 실시가 된다. 단, 관련 분야의 기술자격증 소지자나 학과 전공자 혹은 실무경력이 있어야 응시가 가능하다. 필기 시험은 6과목으로 객관식 4지 선다형으로 실시가 된다. 과목은 응용역학, 측량학, 수리학,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토질 및 기초, 상하수도공학이며 과목당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40점 미만이 되는 과목없이 전체 평균 점수가 60점 이상이 되어야 합격하게 된다. 2차 실기 시험은 작업형으로 실시가 된다. 2022년도 제1회 시험부터는 시험방식이 변경되었다. 변경 전에는 수작업으로 도면을 작도하여 시험시간이 5시간 30분이었으나 CAD를 활용한 도면 작도로 바뀌면서 시간 또한 3시간으로 축소되었다. 주어진 도면을 활용한 도면 내 물량산출 기입 및 도면완성, 출력 작업, 도로 종단면도 작도 및 절·성 토고, 계획 고등 기입, 도로 횡단면도 작도 및 토공량 기입, 암거의 슬래브/벽체 배근도 작도 및 물량산출표 기입에 대한 과제가 주어진다. 시험은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취득해야 한다.
- 현경선 기자 | 2022-04-01 08:03:41

- 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의 업무와 취업처는?
- 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는 침투비파괴검사에 관한 상급숙련기능을 가지고 이에 관련되는 지도적 기능업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검사대상물이 침투비파괴검사가 가능한지 판별한 후 검사절차를 계획하고 검사결과에 대한 판정을 하며, 보고서를 기록, 유지하는 등 비파괴검사전반을 관리 및 감독하고, 모세관의 원리를 이용하는 검사방법으로 검사대사물 표면에 침투액을 적용시켜 균열 등의 불연속부에 과잉의 침투제를 제거하고 현상제를 적용시켜 침투된 침투액을 추출시켜 불연속부의 위치, 크기 및 지시모양을 검사하는 작업도 하게 된다. 또한 검사방법을 시범, 지도하며 검사에 관련된 안전관리 및 교육을 실시한다.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 자격증은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시험을 통해 응시할 수 있으며 취득 후에는 다양한 분야로 진출이 가능하다. 전문 비파괴검사업체, 비파괴검사전문용역업체, 공인검사기관, 자체 검사시설을 갖춘 조선소·건설·제조·가공·운송·에너지·기타 회사의 안전부서, 철강업체, 중공업 및 선박제작업체, 건설회사, 정유회사, 유류저장시설 시공업체, 각종 제조회사의 품질보증관련 부서, 가스용기제작업체, 보일러제조회사, 자동차산업분야, 항공우주산업분야의 비파괴검사부서 등으로 취업이 가능하며 건설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으로도 활동할 수 있다. 또한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의 감리원,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산업체의 기계·기구 검사자로 고용될 수도 있다.
- 한지영 기자 | 2022-03-31 11:34:28

-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전망과 시험의 합격률은?
-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의 담당 업무는 냉동고압가스제조시설, 냉동기제조시설, 냉동기계와 공기조화설비를 운용하는 사업체에서 고압가스 및 냉동기의 제조공정 관리와 위해(危害)예방을 위한 안전관리규정 시행, 공기조화냉동설비 설치 및 시공, 관리유지, 보수, 점검에 대한 부분들이다. 주로 냉동고압가스 제조·저장·판매업체, 냉난방 및 냉동장치 제조업체, 공조냉동설비 관련 업체, 저온유통, 식품냉동업체 등으로 진출하며, 일부는 건설업체, 감리전문업체, 엔지니어링업체 등으로 진출하며「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의한 냉동제조시설, 냉동기제조시설의 안전관리책임자,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 사의 감리원 등으로 고용될 수 있다.공조냉동기술은 주로 제빙, 식품저장 및 가공분야 외에도 경공업, 중화학공업분야, 의학, 축산업, 원자력공업 및 대형건물의 냉난방시설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산업분야에 응용되고 있으며 생활수준이 향상되며 냉난방 설비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런 요인들로 숙련기능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전망이며 공조냉동분야에 대한 높은 관심은 자격응시인원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2016년도의 필기 시험 응시인원은 3,889명이었으나 2019년에는 4,765명, 2020년에는 6,198명으로 증가했다.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시험의 응시인원은 증가하고 있지만 시험의 합격률은 높은 편이 아니다. 2020년도에 시행된 1차 필기의 합격률은 31.8%, 2차 실기의 합격률은 64%로 상대적으로 필기의 합격률이 더 낮다. 때문에 1차 시험에 대비한 적절한 과목별 전략이 필요하다.
- 백유원 기자 | 2022-03-31 11:12:02

- 시각디자인산업기사 원서접수 일정 및 시험과목
- 시각디자인산업기사의 주요 업무는 디자인에 필요한 이론 및 자료를 분석하고 디자인 도구와 컴퓨터시스템을 이용하여 포스터, 팸플릿, 잡지, 포장지, 포장박스 등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매체에 시각이미지를 디자인하는 작업이다. 일정 자격 조건을 갖춰야 응시가 가능한 시험이며 큐넷을 통해 응시가능 여부를 확인해 볼 수 있다.자격증 시험은 2022년도 제1회, 제2회, 제4회에 시행된다. 필기 시험은 '색채학, 인쇄 및 사진기법, 시각디자인론, 시각디자인 실무이론'으로 4과목이며 제1회 시험은 지난 3월 2일~3월 17일에 실시가 되어 3월 23일에 합격 결과가 발표되었다. 제2회 필기 접수는 3월 29일~4월 1일, 시험은 4월 17일~4월 30일이며 제4회 필기 접수는 8월 16일~8월 19일, 시험은 9월 14일~10월 3일에 실시된다. 시각디자인산업기사의 2차 실기는 시각디자인 실무에 대한 작업형 시험으로 제1회 접수는 4월 5일~4월 8일, 시험은 5월 7일~5월 21일에 실시된다. 제2회 접수는 6월 21일~6월 24일, 시험은 7월 24일~8월 5일이며 제4회 접수 기간은 10월 25일~10월 28일, 시험은 11월 19일~12월 2일에 시행이 될 예정이다.
- 김상경 기자 | 2022-03-31 10:47:45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관련 학과와 응시자격
- 에너지관리산업기사는 빌딩, 아파트, 공장, 일반 주택 등에서 냉난방기기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과 관련 설비의 유지 및 보수 업무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전문기술인력으로 각종 산업기계, 공장, 사무실, 아파트 등에 보일러 및 관련장비를 효율적으로 운전할 수 있도록 지도, 안전관리를 위한 점검, 보수업무를 수행한다. 또한 유류용, 가스, 연탄 등 각종 보일러 및 열사용기자재의 제작, 설치시 효율적인 열설비류를 위한 시공을 감독하고 보일러의 작동, 배관상태 등을 점검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직무 분야가 유사한 보일러산업기사는 2014년부터 에너지관리산업기사로 통합이 되었다.시험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자격 조건을 확인해야 한다. 동일 또는 유사분야의 산업기사 소지자, 기능사 취득 후 1년 이상 실무경력이 있는 자, 동일종목 외국자격 취득자나 기능경기대회 입상자는 기술자격 소지자로 인정되어 응시가 가능하고 전문대 이상 관련학과 전공자나 산업기사 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자도 응시가 가능하다. 에너지관리산업기사와 관련된 대표적인 학과는 '기계과, 기계설계과, 건축설비과' 등이 있다. 기술자격증 소지자나 전공자가 아니라면 2년 이상 동일 및 유사분야에서 2년 이상의 실무가 있어야 한다.
- 김문성 기자 | 2022-03-31 10:09:39

- 기계정비산업기사 시험과목과 자격증 취득 후 활용처
- 기계정비산업기사는 산업활동에 쓰이는 각종 설비 및 기계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원활한 기계가공을 위해 각종 기계설비를 점검, 분해, 보수, 정비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또는 생산설비를 유지 관리하는 지도적인 기능업무를 수행한다.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있어 동일 또는 유사 분야의 기술 자격증이 있거나 관련 학과를 졸업한 자, 동일직무분야에서 경력이 있어야 응시가 가능하다. 1차로 실시되는 필기는 4과목이다. 공유압 및 자동화시스템, 설비진단 및 관리, 공업계측 및 전기전자제어, 기계정비 일반으로 객관식 4지 택일형으로 실시가 된다. 필기시험에 합격하면 2차 실기의 응시가 가능하다. 실기는 기계정비에 대한 작업형 시험으로 시행된다.기계정비산업기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각종 설비 및 기계 제작업체 또는 수리업체, 대규모 생산설비를 이용하여 공업제품을 대량생산하는 업체, 금속소재 업체 등으로 취업할 수 있다. 또한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건설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산업환경설비공사업),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안전관리대행기관, 근로자의 보건·안전 지정교육기관, 지정검사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기술인력, 석유사업법에 의한 품질검사기관 지정을 받기위한 기술인력으로도 활동이 가능하다.
- 현경선 기자 | 2022-03-31 09:12:49
12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