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처리 작업은 기계부품, 제조공정 중 필수적 공정으로 설비자동화의 추진에 따라 열처리 기술상의 많은 발전을 가져왔다.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열처리기능 및 요소별 기본작업 방법을 이해하고 산업기술 분야에 응용되는 각종 열처리방법에 관한 지식과 기능을 갖춘 숙련기능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열처리기능사 자격제도를 제정하였다. '열처리기능사'는 열처리방법에 관한 지식과 기능을 가지고 전기로, 분위기로, 진공로, 고주파로 등의 열처리 장비를 이용하여 금속재료와 제품의 기계적, 물리적 성질을 개선하는 방법을 숙지하며 실제 노멀라이징, 풀림, 담금질, 뜨임 등 작업을 통하여 물리적,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금속재료를 만드는 작업을 수행한다.
자격증 시험은 1차 필기와 2차 실기로 실시된다. 필기 시험은 객관식 4지 선다형으로 '금속재료일반, 금속제도, 금속열처리'에서 혼합하여 60문제가 출제된다. 시험 시간은 60분이며 CBT방식으로 컴퓨터로 응시하게 된다. 실기 시험은 금속열처리에 대한 작업형으로 실시가 되며 시험 시간은 3시간 30분 정도이다. 기존에는 복합형 시험으로 필답형과 작업형이 모두 시행되었으나 2021년부터 변경되었다. 필기와 실기 모두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하여 60점 이상을 취득해야 합격기준에 들게된다. 필기 시험에 합격하게 되면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은 1차 시험을 면제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