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철도기사는 전기철도의 부실시공에 따른 안전저해요인을 감소시키고 전기철도공사의 시공품질을 향상시켜 사고를 줄이기 위해 제정된 제도로 전기철도에 대한 공학기초지식을 바탕으로 전기철도 변전설비, 구조물 등에 관한 계획, 설계, 감리, 분석 등의 일반적인 업무를 수행한다. 철도 기관차의 기관 및 객차, 회차를 정비하거나 전동차의 주요 기관 및 차체, 바퀴 등을 정비, 점검하는 업무, 전동차에 전기를 공급하는 송배전선로, 변전설비 및 전선로의 시공관리 및 설계의 일부분을 담당하며 전기철도의 유지 및 보수 업무에 대한 관리업무들을 수행한다.
자격증 시험은 1차 필기와 2차 실기로 실시가 된다. 필기 시험은 객관식 4지 택일형으로 '전기철도공학, 전기철도 구조물공학, 전기자기학, 전력공학' 4과목이며 과목당 20문항이 출제된다. 100점을 만점으로 과목당 40점 이상이 되고 전 과목의 평균 점수가 60점 이상이 되어야 합격하게 된다. 2차 실기는 전기철도 실무에 대한 필답형으로 시행되며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취득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