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환경산업기사는 측정망을 설치하고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대기오염물질의 발생정도와 대기오염상태를 측정 및 분석하고 오염 원인을 알아내어 오염방지 대책을 강구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생활환경 오염물질을 제거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대처방안의 연구와 대기오염방지시설의 설계와 시공 감리 및 점검 업무도 수행하며 대기오염 방지를 위한 장치 및 공법 등을 실험하고 연구한다.
1차 필기 시험은 대기오염개론, 대기오염 공정시험 기준(방법), 대기오염방지기술, 대기환경관계법규 4과목으로 시행이 되며 객관식 4지 택일형으로 실시가 된다. 2차 실기 시험은 대기오염방지 실무에 대한 필답형으로 실시가 된다. 작업형 시험은 2020년부터 폐지가 되었다.
대기환경산업기사 시험의 응시인원은 매년 조금씩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020년도 검정현황을 기준으로 필기 시험의 응시인원은 1,894명, 합격자는 549명으로 합격률이 29%였고, 실기 시험의 응시자는 672명, 합격자가 297명으로 합격률은 44.2%였다. 응시자는 증가하고 있으나 평균 합격률은 낮아지고 있어 시험과목과 방식에 따른 적절한 학습방법이 뒷받침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