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위생관리기사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화학적, 물리적, 인체공학적 혹은 생물학적 유해요인을 측정, 평가하여 이를 관리하고, 유해요인을 감소 및 제거하여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된 자격제도로 일정 응시자격 조건을 충족해야 응시가 가능하다.
산업위생관리기사 자격증 시험은 1차 필기와 2차 실기로 시행이 된다. 필기 시험은 '산업위생학개론, 작업위생측정 및 평가, 작업환경관리대책, 물리적 유해인자관리, 산업독성학'으로 5과목이며 과락 없이 과목 당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평균이 60점 이상 되어야 한다. 산업위생관리기사의 실기는 '작업환경실무'에 대한 필답형으로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받아야 합격하게 된다.
산업위생관리기사 시험의 합격률은 연도별 평균을 큐넷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18~2020년도의 합격률을 비교해보면 산업위생관리기사 필기의 경우 47.7%, 51.1%, 49.7%이며, 실기 시험의 경우 33%, 50.9%, 60.8%로 2차 시험이 1차 시험보다 합격률의 차이가 큰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