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설비기사는 소방시설공사 또는 정비업체 등에서 소방시설공사의 설계도면을 작성하거나 소방시설공사를 시공, 관리하며, 소방시설의 점검·정비와 화기의 사용 및 취급 등 방화안전관리에 대한 감독, 소방계획에 의한 소화, 통보 및 피난 등의 훈련을 실시하는 방화관리자의 직무를 수행한다. 소방설비기사 자격제도는 기계분야와 전기분야가 있으며 기계분야는 기계계통으로 작동하는 건물소방시스템인 소화기, 옥내, 외소화전, 스프링클러, 포소화설비,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할론 소화설비 등을 담당하고 전기분야의 소방설비기사는 전기계통으로 작동하는 건물소방시스템인 자동화재탐지설비, 비상경보 설비, 비상콘센트 설비, 비상조명 설비, 전기화재경보기 등을 담당한다.
소방설비기사의 시험과목은 전기와 기계분야에 따라 차이가 있다. 소방설비기사 전기분야의 필기 시험과목은 소방원론, 소방전기회로, 소방관계법규,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이며 기계분야의 필기 시험과목은 소방원론, 소방유체역학, 소방관계법규,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이다. 필기 시험은 객관식 4지 택일형으로 실시가 된다. 소방설비기사 실기 시험은 필답형으로 전기분야는 소방전기시설 설계 및 시공 실무에 대한 내용이, 기계분야는 소방기계시설 설계 및 시공 실무에 대한 내용이 출제가 된다.
소방설비기사의 필기 시험은 과목당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이 되며 과목 전체의 평균 점수가 60점 이상이 되어야 한다. 실기 시험은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이 되어야 한다.
소방설비기사 필기와 실기 시험의 평균 합격률은 높은 편이 아니기 때문에 각 과목과 일정에 따른 적절한 학습방법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