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채널

가정의달 할인 이벤트

뉴스

생명과학시험원이 되는 방법, 전망은?

심승희 기자 ㅣ 기사입력 : 2023. 11. 03



생명과학시험원은 생물학, 의약, 식품, 농업, 임업 등 생명과학 분야에서 연구자의 연구개발 업무를 보조하거나 기술적인 업무를 수행한다. 생명과학시험원이 되려면 학사 이상의 학력을 갖추어야 하지만 대부분 석사 학위를 소지한 경우가 많다. 생물, 미생물, 식품, 농업, 임업, 자원관리나 공업계 및 의료보건 계열을 전공하면 업무 수행에 유리하며 관련 학과로는 '생물학과, 생물공학과, 미생물학과, 생명과학과, 생명공학과, 유전공학과, 바이오 생명과, 농업생명과학과' 등이 있다. 일부 연구소에서는 일정 기간의 숙련기간과 사내 연구과정을 요구하기도 한다. 생명과학시험원이 되기 위한 공인된 국가 자격증은 없지만 화학비료, 살균제, 제초제 및 살충제를 사용하는 데에는 관련 면허증이 필요하다.

생명과학 분야는 다양한 분야로의 진출이 가능하다. 의약분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어 과학 및 의료분야의 연구개발과 관련 제품의 생산이 증가하고 있으며 생명연장으로 점차 건강보조식품, 기능성식품 시장 또한 확대되는 추세이다. 위생 및 영양 품질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생명과학분야의 발전은 유지가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해당 현상으로 생명과학자의 실험, 검사 및 분석업무를 보조하거나 직접 수행하는 생명과학시험원의 수요 또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지만 인력관리의 어려움 해소로 인한 비정규직 고용사례가 증가할 수 있으며, 단순업무 수행으로 인해 이·전직이 늘어나서 이로 인한 대체인력수요는 꾸준히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심승희 기자
Copyright © 에듀채널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목록으로

많이 본 뉴스

인기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