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정보기술 지식을 토대로 정보기기를 운용할 수 있는 전문기능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관련자격증인 정보기기운용기능사가 제정되었다. 정보기기운용기능사는 사무업무의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해 각종 정보의 교환수단인 개인용 컴퓨터, 복사기, 복합기, 화상통신시스템, 비디오텍스시스템, 광비디오장치 등을 조작하고 활용하는 자격으로 응용프로그램이나 새로운 기술의 정보기기의 기술을 습득하고, 컴퓨터 및 정보기기 등의 운용지식을 활용하여 정보기기 및 통신장비의 설치, 시험, 조작, 정비, 검사, 관리, 유지, 보수에 대한 업무를 수행한다.
응시자격 제한이 없는 시험이기 때문에 전공이나 학력, 경력, 연령에 관계없이 응시가 가능하다. 정보기기운용기능사는 시험은 1차와 2차로 시행되며, 필기는 객관식 4지 선다형 방식으로 시험과목은 '① 전자계산기일반, ② 정보기기일반, ③ 정보통신일반, ④ 정보통신업무규정'이다. 2차 실기의 시험과목은 '네트워크 운용 기초 실무'이며 작업형으로 시행된다. 필기와 실기 모두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받아야 합격이다.
필기의 경우 2019년도까지의 평균 합격률인 20%대였으나 2020년도 합격률은 42.1%, 2021년도 합격률은 42%, 2022년도 합격률은 40.7%로 최근 높아진 편이다. 실기의 경우도 평균 50%대의 합격률에서 2020년 합격률은 67.8%, 2021년도 합격률은 70.1%, 2022년도 합격률은 77%로 높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