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콘텐츠디자이너는 컴퓨터그래픽 등을 활용하여 웹페이지, 동영상, 게임, 컴퓨터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같은 미디어 콘텐츠에 필요한 아이콘, 자막, 이미지, 영상효과 등의 시각적 구성요소 및 사용자 환경을 디자인한다. 게임그래픽디자이너는 PC 게임, 네트워크 게임 등 게임용 소프트웨어 제작에 참여하여 게임시나리오작가가 구상한 내용을 컴퓨터그래픽 프로그램 등을 활용하여 실감나는 영상으로 표현하며, 영상그래픽디자이너는 영화 및 드라마 내용의 그림이나 자막, 차트, 화면합성 등을 컴퓨터로 도안하여 입체영상으로 표현한다. 또한 사용자경험 및 인터페이스 디자이너(UI/UX디자이너)는 사용자 경험에 입각하여 사용자의 편의성과 활용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요구사항 등을 수집하고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을 설계하는 일을 한다.
미디어콘텐츠디자이너는 주로 웹사이트 개발업체, 전문 디자인업체, 게임개발업체의 채용 공고를 통해 취업을 하는 편이다. 웹디자이너는 웹사이트 개발업체에서 일하거나 프리랜서로 활동하는 동안 경력과 실력을 쌓아 웹광고기획자, 웹마스터, 웹콘텐츠기획자 등으로 이직할 수도 있으며 광고사, 방송국, 게임개발업체, 컴퓨터그래픽전문업체 등에서 일을 한다.
미디어콘텐츠디자이너의 일자리는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IT 기기가 발전하면서 각종 프로그램 및 모바일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모바일 매체에 최적화된 영상 콘텐츠 및 디자인 적용이 반영되고, 첨단 영상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디자이너 수요가 커지고 있다. 게임 부문의 경우, 스마트폰으로 즐기는 모바일 게임 개발이 증가하고 있고 게임 유저가 전 연령층으로 확대된다는 점에서 게임그래픽디자이너의 일자리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영상그래픽디자이너는 영상을 통한 정보를 전달하는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고품질의 영상그래픽을 책임지는 디자이너를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할 전망이다. 또한 가상현실 시장이 성장하면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관련 기술이 접목된 제품의 디자인 및 게임물, 영상콘텐츠 분야의 유망성이 더 커질 전망이다. UX디자인은 영역을 넓혀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 개발에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웹디자인뿐 아니라 다양한 미디어 기기와 매체, 콘텐츠 영역에서 소비자 경험 및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중요성이 커지고 해당 업무를 담당하는 디자이너의 수요도 증가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