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채널

가정의달 할인 이벤트

뉴스

병원코디네이터 업무와 전망은?

김상경 기자 ㅣ 기사입력 : 2023. 10. 05



병원코디네이터는 의료현장에서 근무 분위기 조성과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으로 환자에게 신뢰감을 주고, 원내 이미지 개선을 위한 홍보 및 마케팅을 기획하는 일을 담당한다. 전화나 메일 등으로 상담을 하고, 환자의 예약관리 및 사후관리를 하며 내방객의 방문목적을 확인하고, 초진의 경우 문진항목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안내한다. 진료를 마친 환자에게 치료에 대한 설명과 주의점, 처방전 등을 안내하며 환자의 추후 내방에 관한 예약관리를 하고 수납을 담당하기도 한다. 병원 분위기 연출을 위해 실내외 환경을 조성한다. 또한, 병원 이미지 및 경영 개선을 위한 기획안을 작성하고 홍보·마케팅을 하며 병원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직원 서비스 관리 및 교육을 한다.

병원에서의 실무 경험이 있으면 취업에 유리하며, 민간협회에서 발급하는 병원코디네이터 자격증이나 국가자격인 국제의료 코디네이터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하는 편이다. 한국고용정보원의 '2019-2029 중장기 인력수급전망'에 따르면, 병원코디네이터를 포함하여 고객 상담 및 모니터 요원은 2019년 약 197천 명에서 2029년 약 199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2천 명(연평균 0.1%)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국내 병·의원 수는 최근 몇 년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고 의료시장의 개방과 국내 병원의 대형화, 병원의 체인화로 인해 국내의 병원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어, 적극적인 마케팅과 높은 수준의 서비스가 중요해짐에 따라 병원코디네이터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병원의 자동화시스템 도입 등으로 인해 병원코디네이터 업무 중 예약, 수납 등의 단순업무는 줄어들 것으로 보이며, 환자를 응대하거나 상담하는 역할이 앞으로 더 중요해질 것으로 보인다.

김상경 기자
Copyright © 에듀채널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목록으로

많이 본 뉴스

인기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