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심리상담원은 상담과 교육을 통해 운동선수와 스포츠 참가자의 목표설정, 자기관리, 실수 및 불안 극복, 자신감 회복 등을 지원함으로써 운동과 스포츠의 지속 동기를 강화하고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운동선수와 스포츠 참가자의 심리적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마련한 후 운동과 스포츠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 상담을 실시하고, 심리기술훈련(PST)의 설계와 실천을 도우며 약물복용, 식이장애, 자신감 상실, 중도 포기 등의 위기상황에 대해 중재한다. 팀 의사소통 등 팀 조직 관리에 대한 컨설팅을 하며 훈련 및 경기 분석을 통해 훈련 효과를 높이는 방안을 조언하고 운동선수의 부모 및 지도자를 교육하기도 한다.
대학에서 체육학을 전공한 경우 대학원에서 스포츠심리학으로 석사 혹은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상담 경력을 쌓을 수 있으며 일반심리학을 전공한다면 임상 및 상담 심리학으로 석사 또는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우울이나 섭식 등 자신의 전문 분야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상담 경력을 쌓을 수 있다. 스포츠심리상담원은 스포츠 종목별 프로구단이나 기업, 심리 상담소, 스포츠 전문 병원, 재활 전문 병원 등 상담과 관련된 회사에 취업할 수 있으며 공개 채용 또는 특별 채용을 통해 스포츠 관련 기업, 상담 심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진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