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사회복지사는 학교 등에서 학생-학교-가정을 연계한 사례관리, 지역사회자원개발, 학생위기개입 및 아동학대 예방 등 사회복지 서비스 지원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학생을 위한 개별 및 집단 상담과 치료적 개입을 통한 '임상전문가'의 역할, 학습과 진로, 학습전략과 의사소통훈련 교육의 '교육자 및 자문가'의 역할, 학생과 가족간의 '매개자/연계자'의 역할, 학생화 환경사이의 '조정자 및 중재자' 역할, 학생과 가족 인권 보장을 위한 '옹호자' 역할, 학생과 가족, 학교에 필요한 지역사회자원의 발굴 및 개발촉진을 위한 '자원개발자'의 역할, 교사를 비롯한 전문가 및 관련기관과의 협력과 공조를 통한 '공조자 및 협력자'의 역할, 실태조사 및 효과성 연구를 통한 복지서비스 제공의 '조사연구자'의 역할, 학생복지 증진을 위한 다양한 수준에서의 정책감시와 제언 참여를 통한 '정책제언가' 등 다양한 역할을 하게 된다.
학교사회복지사를 취득하려면, 사회복지사 1급 자격을 취득한 후 사회복지사업법 제11조제3항에 따른 수련기관에서 1년 이상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수련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수련 교육은 1년 이상 1,000이상을 이수해야 하며 이후 지필평가와 과제제출을 통한 수련평가에 통과해야 한다. 학교사회복지사의 수련은 이론교육 150시간 + 학술활동 20시간 + 학교현장실습 830시간으로 구성된다. '이론'과정에서는 법과정책 15시간, 윤리와 철학 15시간, 이론과 실제 100시간, 기획 및 행정 20시간, '실습'과정은 학교환경 이해 40시간, 사정 및 평가 120시간, 체계별 개입 실천 470시간, 위기개입 실천 100시간, 행정 및 재정관리 100시간으로 구성된다. 수련교육에서 출석, 과제, 평가 항목에서 총점의 80% 이상을 득점해야 하며 자격연수를 이수하지 못하면 자격증이 발급되지 않는다. 또한 자격연수는 시험 응시 당해 연도에 반드시 이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