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환경기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일반사업장, 환경오염측정업체, 환경플랜트회사, 대기오염방지 설계 및 시공업체, 환경시설관리업체는 물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환경관리공단, 국립환경과학원, 보건환경연구원 등 공공기관 및 연구소, 학계 등으로도 진출할 수도 있다. 매년 시험의 응시인원은 증가하고 있지만 평균 합격률은 낮아지고 있다.
대기환경기사 시험의 경우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며, 1차 필기와 2차 실기로 실시된다. 필기 시험은 5과목으로 ① 대기오염개론, ② 연소공학, ③ 대기오염방지기술, ④ 대기오염 공정시험 기준(방법), ⑤ 대기환경관계법규이며 객관식 4지 선다형 방식이다. 시험 문항은 과목당 20문제씩 총 100개이며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과락없이 전 과목 평균이 60점 이상 되어야 한다. 한 과목이라도 40점 미만이 되면 불합격으로 처리된다.
2차 실기는 '대기오염방지 실무' 과목이며 주관식 필답형으로 실시된다. 100점을 기준으로 하여 60점 이상을 받아야 합격하게 되며, 필기 시험에 합격한 이후에는 필기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 시험을 면제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