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을 취득한 후에는 정부의 환경공무원, 환경관리공단, 연구소, 학계 및 플랜트 회사, 환경오염방지 설계 및 시공회사, 환경시설 전문관리인 등으로 진출 할 수 있습니다.
대기환경 기술자가 포함된 환경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은 다른 직업과 비교해서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요! 해당 자격을 얻기 위한 대기환경기사시험을 알아보도록 할게요. 자격시험은 필기와 실기, 2번으로 구성되어 있고 시험을 치기 위해서는 요구하는 응시자격을 갖추어야 합니다.
응시자격을 살펴보면 관련 기능사+실무3년, 산업기사+실무1년 등의 동일/유사 분야 다른 기사 자격을 취득하거나 관련 학과를 전공하여 대졸 또는 졸업을 앞두고 있는 예정자면 가능합니다. 4년제는 4학년 1학기 이상 재학생부터 응시가 가능하고 2년제와 3년제는 졸업후에 실무 경력 2년/1년 이상이 있어야 합니다. 또 관련분야에서 실무 경력 4년 이상을 쌓은 경우 역시 응시자격에 해당 될수 있어요! 이외에도 여러방법으로 자격을 갖출 수 있고 만약 비전공자이거나 실무 경력이 부족하다면 학점은행제의 도움을 받아 자격을 완성 할 수 있습니다.
응시자격을 갖추었으니 이제 시험방법과 과목을 알아볼까요? 필기시험은 객관식 4지 택일형으로 과목당 20문항/30분이며 과목은 총 5과목입니다. 필기과목: 1.대기오염개론 2.연소공학 3.대기오염방지기술 4.대기오염공정시험 기준(방법) 5.대기환경관계법규 실기시험은 필답형으로 3시간에 걸쳐 평가하며 시험과목은 대기오염방지 실무입니다. 필기 및 실기 시험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각 과목을 100점 만점을 기분으로 하고 있고 필기는 과목별 40점이상+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는 60점 이상을 받아야 합니다.
대기환경기사필기와 실기는 매년 3번의 기회가 주어지고 있는데요.현재는 1회 실기 시험이 진행중으로 5월7일까지입니다 2회 필기 시험은 원서접수를 마감하고 5월13일~6월4일에 예정되어 있어요. 남은 일정에 맞춰서 합격을 준비하고자 한다면 단기간에도 빠르게 실력을 완성할 수 있는 온라인 강의로 공부하는 것이 좋은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