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여는 글
추모의 글
서문: 문명교류 연구의 공백
제1장 동서의 지정학적 개념
중세적 개념 / 근세적 개념
제2장 동서 상이의 연원
동서 상이의 자연환경적 연원 / 동서 상이의 고고학적 연원 / 동서 상이의 사회경제적 연원 / 동서 상이의 가치관적 연원
제3장 문명의 개념
문명의 정의 / 문명의 속성 / 문명과 문화 / 이질문명의 바른 이해
제4장 근대적 문명담론
문명담론의 부상 / 문명진화론 / 문명이동론 / 문명순환론
제5장 현대적 문명담론
오리엔탈리즘 / 문명충돌론 / 문명공존론
제6장 문명교류의 개념과 전개과정
문명교류의 개념과 시원 / 문명교류의 약사
제7장 문명교류의 역사적 배경
문명교류의 정치사적 배경 / 문명교류의 군사사적 배경 / 문명교류의 경제사적 배경 / 문명교류의 민족사적 배경 / 문명교류의 교통사적 배경
제8장 문명교류와 문명권
문명권의 개념 / 유목기마민족의 ‘준문명권’ / 라틴아메리카문명권 / 아프리카문명권 / 유럽문명권 / 북유럽(비크)문명권 / 아시아문명권 / 이슬람문명권 / 동아시아문명권
제9장 문명교류의 당위성과 문명접변
문명교류의 당위성 / 문명교류 과정과 접변
제10장 문명교류의 통로, 실크로드
실크로드의 바른 이해 / 초원로 / 오아시스로 / 해로 / ‘일대일로’의 개념 탐구
제11장 환지구적 해로의 개척
콜롬버스 행각의 삼성론적 모색 / 중세 항해사 개척자 정화의 ‘하서양 ’ / 마젤란-엘까노의 ‘세계일주’ / 지구의 허파를 잇는 빠나마운하 / 헤위에르달의 3대양 뗏목 일주
제12장 실크로드와 한반도
한반도로의 실크로드 복원 / 한민족의 뿌리를 내리게 한 길 / 세계와 소통시킨 길 / 한민족의 위상을 드높인 길
제13장 문명교류사에 명수죽백할 선현
해동의 첫 세계인 혜초 / 세계의 지붕 ‘파미르의 주인’ 고선지
제14장 보편문명론
서구적 보편문명 / 범지구적 보편문명
제15장 문명교류학의 학문적 정립
문명교류학 정립의 절박성 / 문명교류학의 학문 계보 / 문명교류학의 내용 / 문명교류학의 연구방법 / 문명교류학의 학술적 특징
맺는 글: ‘문명대안론’과 미래사회의 예단
주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