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참여형 교수법을 이해하다
참여형 교수법의 기본 이해 / 왜 참여형 교수법인가? / 학습 피라미드와 참여형 교수법 /
하브루타(HAVRUTA) 학습법 / 퍼실리테이션 기법 / 선인들의 깊은 통찰
제2장 교육공학과 참여형 교수법의 접점
교육공학이란 무엇인가? / 기계공학적 교육공학 / 행동과학적 교육공학
제3장 안전보건교육에 참여형 교수법 활용하기
안전보건교육의 중요성 / 산업안전보건법 의무 교육에 대한 현실과 과제 /
ADDIE 모형을 활용한 참여형 교수법 설계와 적용 / 국가직무능력표준 활용
제4장 참여형 교수법 준비하기
최적의 학습공간 만들기 / 강의 성공을 위한 준비물 A to Z
제5장 참여형 교수법 방법론
5.1 얼음을 깨는 기술 아이스브레이킹
미소훈련법으로 만드는 긍정적 이미지 / 칭찬스티커로 긍정적 학습 환경 만들기 /
주먹 쌓기로 긴장 완화와 친밀감 형성 / 풍선게임으로 팀워크 강화하기
5.2 참여형 교수법 실천 가이드
비상시 대비 및 대응 / 우리 팀 아이덴티티 / 강의장을 하나로 만드는 그라운드 룰 /
팀워크를 강화하는 역할 카드 활용 / 생각의 퍼즐 크로스 워드 / 뇌를 자극하는 초성 퀴 즈 / 집중력을 높이는 사지선다형 퀴즈 / 의사소통을 시각화하는 신호등 카드 / 아이디어 가 흐르는 시간 브레인라이팅 / 시선을 사로잡는 영상 스토리 / 이론을 넘어 현장 속으로 / 걸으며 나누는 대화 Walk & Talk / 갈등 없는 진행을 위한 순서 결정 기술 / 사소하지 만 중요한 대화 스몰토크 / 집중의 시간 미니 메가폰 활용 / 9×9 생각의 기술 만다라트 기법 활용 / 창의력과 논리를 연결하는 마인드맵 전략 / 인식과 행동을 변화시키는 리치 픽처 / 안전을 지키는 첫걸음 안전 관찰 / 강렬한 메시지 전달 창작 포스터 / 위험을 읽 는 안전보건 표지 / 마술로 전달하는 안전 메시지 / 디지털 시대 스마트 활용 역량 / 음 악으로 전하는 안전 메시지 Safety Concert / 협업과 창의성의 공간 Padlet 활용법 / 효율적인 그룹 대화 카카오 오픈채팅 / 미래를 바꾸는 기술 인공지능(AI) 활용법 / 스토리 부터 편집까지 영상 제작 기술 / 여운을 길게 하는 스토리텔링 비법 / 나의 안전 발자취 Safety Line 작성
5.3 강의 효과성 평가
퀴즈를 통한 학습 점검 Kahoot 활용 / Google 설문지를 활용한 효과성 평가 / 강의장 열 정 온도계 / 강의 성과평가 KEEP/STOP/BEGIN
부록 : 참여형 교수법을 반영한 안전보건교육계획
1.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2. 관리감독자 안전보건교육
3. 안전보건 워크숍
4. 참여형 교수법 강사(1급, 2급) 교육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