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어쩌면 생은 한 줄 글
무소유길/ 우드버닝 수행하다/ 감색 만년필/ 두 번째 편지/ 모데미꽃 찾아서/
돌아보는 봄/ 산타독/ 부르면 돌아보는 변산바람꽃/ 오월 경화역/ 유리창 사이에 둔 봄/ 집으로 가는 길이 때론 멀어/ 꽃마중/ 가방을 어디에 내려놓아야 할까/ 지울 수 없는 번호
2부 닫힌 창이 전하는 몇 조각 말
붉나무집 각시수련/ 능소화 지는 대신동/ 너울은 어디 갔을까/ 지금은 내면 테라피 중/
혼자 가기엔 너무 먼 집/ 안개 정국/ 하늘 담긴 편백숲/ 꽃을 필사하다/ 아버지 날/
죄송합니다/ 수월관음도를 품는다/ 키오스크 앞에서/ 불편하게 살아요/ 타오르는 달
3부 달빛에 돌아보니 살푼 자란 뒷그림자
가을 모서리 펼친다/ 느티나무 그 빈자리/ 서성이는 잠/ 외가로 도라지꽃 들어선다/ 앞섶을 열다/ 그림자나무/ 감나무 초대장/ 한꺼번에 흔들리는 억새/ 무풍한송로舞風寒松路/
모과/ 뼈가 하는 말/ 그리움은 오래된 미래/ 가을 시편/ 가슴엔 홍천/
4부 아직도 한 사람에게 손 내밀고 있었네
골목을 챙겨간다/ 발 뻗고 뜨개질/ 쇠똥구리 고난사/ 꽃이 펴도 지금은 한겨울 속/
파문 보고서/ 섣달그믐의 바다/ 할머니 만두/ 이제 제 걱정은 그만 하세요/ 세밑에 앉아/
쓸쓸하지만 다 옳다/ 뒤돌아본다/ 입동을 걷는다/ 낮을 지나 다시 환한 낮밤/ 전展을 보다
해설 _ 현실과의 상생을 위한 위기와 순환의 화해
정용국(한국시조시인협회 이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