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목 차 례〉
1부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
1장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의 생애와 사상
1. 비트겐슈타인의 생애(1889-1951) .............................. 3
2. 비트겐슈타인의 사상 .............................................. 10
2장 『논고』, 존재론으로서의 ‘그림 이론’
1. 논리적으로 구성된 세계 : 사태-사실-세계 ................. 15
2. 그림이론 ............................................................ 20
3. 사실들의 논리적 그림 : 사고 .................................. 27
3장 명 제 론
1. 요소명제 ............................................................. 30
2. 명제 함수와 사고대상들의 대응 ................................ 32
4장 언어, 명제들의 총체
1. 현실의 그림으로서의 명제 ....................................... 39
2. 명제를 통한 세계의 기술(記述) ................................ 42
3. 명제들의 총체로서의 자연과학 ................................. 44
4. 논리적 형식과 진리함수 (4.2-5.641) ........................ 47
5. 말할 수 없는 ‘신비스러운 것’ .................................. 54
5장 『탐구』에 나타난 ‘언어의 기능’
1. 『탐구』의 주제 ....................................................... 68
2. 언어의 지시적 기능과 사용적 기능 ............................ 71
3. 언어의 사용적 기능 : 언어규칙들의 혼재 .................... 81
4. 전통 철학의 본성과 한계 ........................................ 90
6장 사용언어의 인식론 : ‘이해’
1. 이해 : 실천적 능력 ............................................... 97
2. 언어적 이해는 ‘심리 과정’인가, ‘규칙 따르기’인가? ...... 102
3. 이해 : 규칙 따르기 ............................................. 107
7장 ‘사용언어’의 ‘표상’이해 : 철학적 심리학
1. ‘사적 언어’에 우선한 ‘낱말’ ..................................... 114
2. ‘언어’ 후에 나타나는 생각과 의미 ............................ 124
3. ‘언어사용’에서 나타나는 ‘상상(표상)’ ......................... 127
4.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심리학 ................................ 136
2부 윌러드 V.O. 콰인
1장 윌러드 V.O. 콰인의 생애와 사상
1. 콰인의 생애(1908-2000) ...................................... 145
2. 콰인의 사상 ....................................................... 152
2장 「경험주의의 두 가지 도그마」 비판
1. 분석명제에 대한 비판적 고찰 .................................. 161
2. 분석성의 배경 ..................................................... 163
3. 동의어 개념을 통한 분석성에 대한 비판 .................... 169
4. 검증이론과 환원주의 ............................................. 177
5. 도그마 없는 경험론 .............................................. 181
3장 「존재하는 것에 관하여」의 존재 개념
1. 존재의 기준 탐구 ................................................ 184
2. ‘존재’를 나타내는 단칭명사 ................................... 189
3. ‘보편자’의 존재론적 문제 ...................................... 198
4장 존재론적 물음
1. 의미론적 상승전략을 통한 존재의 탐구 ..................... 207
2. 『이론들과 사물들』 등에 나타난 존재론 ...................... 215
3. 양화논리학을 통한 문장의 재구성 ............................ 220
5장 존재론의 상대성
1. 「존재론의 상대성」(1969) ........................................ 225
2. 언어의 경험적 불가해성 ........................................ 228
3. 배경언어에 의한 존재론적 물음 .............................. 237
4. 존재론의 상대성 ................................................. 242
6장 콰인의 인식론
1. 믿음의 거미줄(Web of Belief) ............................... 252
2. 일반법칙을 산출하는 관찰문장 ................................ 257
3. 자연화 된 인식론(or 인식론의 자연화) ..................... 270
4. 전체론적 인식론 ................................................. 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