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4
제1장
합동성, 전쟁의 승패를 좌우하다
제1절 우리 군의 합동성 수준은 왜 낮은가? 18
제2절 합동성 문제를 풀기 위한 접근법과 연구 프레임 25
1. 기존 접근의 한계와 새로운 시각 25
2. 연구의 방향성과 질문 26
3. 연구 범위 26
4. 분석 방법 27
5. 분석 프레임 29
6. 책의 전체 구성 31
제3절 기존 논의 검토와 이 책의 차별성 32
제2장
합동성을 이해하기 위한 4가지 관점
제1절 국방조직의 이해 39
1. 국방조직: 복합적 시스템의 이해 39
2. 군구조: 전투력을 구성하는 기본 골격 44
3. 군제 유형 46
제2절 합동성과 합동군의 본질 54
1. 합동성 개념 54
2. 합동성의 영역 67
3. 합동군과 합동작전 72
제3절 핵심가치와 합동성 76
1. 핵심가치 개념 76
2. 조직문화와 핵심가치 78
3. 핵심가치와 합동성의 상관관계 83
제4절 합동성 진단을 위한 조직 분석 틀 87
1. 사일로 효과(Silo Effect) 87
2. 맥킨지 7S 모델 92
3. 샤인의 조직문화 모델 97
제3장
합동성, 왜 아직도 제자리인가?
(문제의 근원과 우리 군의 현주소)
제1절 합동성 문제의 근원 108
1. 각 군의 전략사상과 문화의 차이 109
2. 조직이론과 자군 중심주의 117
3. 인간 심리와 집단 응집성의 이중성 120
제2절 합동성 강화를 위한 노력과 수준 125
1. 정부 차원의 합동성 강화 시도 125
2. 합동성 강화를 위한 노력 분석 141
3. 우리 군의 합동성 수준 152
제3절 핵심정리: 무엇이 문제이고, 어디부터 바꿔야 하는가? 159
제4장
핵심가치, 조직성과와 통합을 이끄는 내적 동력 -일류기업 및 군사 선진국의 사례 분석
제1절 일류기업의 핵심가치 실천사례 164
1. 애플(Apple) 164
2. 삼성전자(Samsung Electronics) 175
3. 스타벅스(Starbucks) 182
제2절 군사 선진국의 핵심가치 적용사례 190
1. 美 합동군 191
2. 英 합동군 200
3. 이스라엘 방위군 207
제3절 핵심정리: 우리 군의 변화를 위한 교훈 214
제5장
핵심가치 기반 합동성 강화방안
제1절 합동 문화변용(Joint Acculturation) 221
1. 합동 문화변용 개념 221
2. 핵심가치를 공유하는 합동군 228
제2절 합동군의 핵심가치 접근 232
1. 합동군의 핵심가치 요건과 접근방법 232
2. 핵심가치 선정 시 고려사항 236
제3절 핵심가치 선정과 실천을 통한 합동성 강화 247
1. 합동군의 핵심가치 선정 248
2. 핵심가치 실천을 통한 합동성 강화 253
3. 합동 리더십 발휘 258
제6장
결론: 합동성 강화를 위한 가치 중심의 전환 265
주(註) 277
참고문헌 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