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1 8
추천사 2 10
저자 서문 12
서론 15
십자가 신학의 상황적 통찰과 신학적 응답
제1장 복음의 보편성과 상황화: 신학적 긴장 18
제2장 초대교회와 십자가 신학의 형성 22
제3장 율법과 십자가: 바울의 신학적 전환과 논쟁 45
제4장 종교개혁과 십자가 신학의 재정립 54
제5장 전쟁과 고난 속의 십자가 신학: 몰트만의 신정론적 해석 76
제6장 물질주의 문명과 십자가 신학: 존 홀의 비판적 상황화 94
번영신학의 십자가 이해 비평
제7장 성공주의 신앙과 십자가 신학의 위기 114
제8장 번영신학의 신학적 기초와 사상적 배경 119
제9장 번영신학의 십자가 신학에 대한 구조적 왜곡 142
제10장 번영신학의 핵심 개념 분석 157
제11장 십자가와 번영의 신학적 관계 172
제12장 번영신학에 대한 신학적 비판과 종말론적 재해석 187
십자가 신학의 보편성과 총체적 재구성
제13장 십자가 신학의 중심성과 현대적 요청 192
제14장 성경에 나타난 십자가 신학의 기초 197
제15장 전통 속 십자가 신학의 유형들 219
제16장 십자가 신학의 신학적 통합과 비판 265
제17장 십자가 신학 담론을 위한 총체적 재구성 290
제18장 보편성과 통전성 안에서의 십자가 신학 321
결론 324
참고문헌(Bibliography) 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