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1부 마음 안내서
제1장 마음이란 무엇인가-명상의 출발점
-마음의 사전적 의미
-마음의 종류
-마음, 몸 그리고 욕구
-‘마음’을 담는 그릇
제2장 마음속의 나, 내 안의 마음
-‘나’를 구성하는 것
-‘나’의 종류
-마음이 작용하는 법
-자아와 개성
-마음의 깊이
제3장 마음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욕구 慾求
-욕망 慾望-괴로움의 근원
-감각 感覺
-감정 感情
-감정의 속성
-생각 -나를 존재하게 하는 것
-생각의 한계
제4장 마음의 고통, 집착에서 비롯되다
-집착 執着 -괴로움의 원인
-선천적 괴로움
-욕망과 선택
-후천적 괴로움
제5장 명상, 마음을 바라보는 기술
-명상이라는 단어의 의미
-명상의 정의
-명상의 분류
-명상의 분류별 설명
-마음챙김 명상
-사마타와 위빠사나
-화두선話頭禪 간화선看話禪
제6장 자아의 한계, 마음챙김의 한계
-마음챙김 패러독스
-메타인지와 마음챙김
-명상과 과학
2부 선禪 이야기
제7장 연기설緣起說로 본 불교 철학
-연기설 緣起說의 이해
-인과설因果說, 인연설因緣說, 그리고 연기설緣起說
-인간의 업業
-유식사상唯識思想의 이해
-유식唯識의 표면의식
-유식唯識의 심층의식
제8장 자아自我에 중독된 인간의식
-인간의 표면의식
-인간의 심층의식
-자신에게 속는 인간
-자신에게 속는 이유
-어둠 속을 헤매는 인간
-영혼과 자아
제9장 선禪, 붓다의 깨달음을 따르다
-붓다의 깨달음, 선禪
-붓다의 수행
-고락중도苦樂中道의 두 가지 설명
-고락중도苦樂中道의 논리적 해석
-선禪과 중도中道
-선정禪定과 고행苦行
제10장 선禪에서 화두話頭까지
-선禪의 출현
-선禪의 의미
-선禪의 장단점
-선禪의 근원 - 인도불교
-선禪의 자취 - 중국불교
-공안公案과 화두話頭
-간화선看話禪
-알음알이의 의미
-명상법, 수행병, 혹은 기도병
제11장 선禪의 수행법, 괴로움에서 벗어나기 위한 고통
-선禪과 의단독로疑團獨露
-선禪의 수행 단계
-선禪의 수행법-행주좌와어묵동정行住坐臥語默動靜
-명상법과 수행법
-두타행頭陀行과 고행苦行
제12장 선禪을 위한 예비 마음
-중생심衆生心 - 사람의 마음, 짐승의 마음
-하심下心과 참회懺悔 - 수행의 두 바퀴
-부동심不動心 - 흔들리지 않는 마음
-자비심 慈悲心 - 무아無我로 나아가는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