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의 글
서문
제1부. 교육은 왜 존재하는가: 사명, 철학, 비전을 다시 묻다
- 위기의 신호
- 핵심 가치
- 교육 철학과 신념
- 교육의 사명, 비전 그리고 목적
- 왜 교육을 다시 말해야 하는가
제2부. 변화는 어떻게 시작되는가: 실패와 성공에서 배우다
1. 현장이 증언하는 교육 개혁의 한계 - 30년의 목소리
- 반복되는 교육 개혁의 실패 원인
- 시스템 구조의 한계와 관성
- 제도를 바꿔도 교실은 왜 그대로인가
2. 학생이 교육의 주인이 된다면 - 애너하임의 실험
- 모든 학생의 성공을 향한 여정
- 어떤 리더십이 진짜 변화를 만드는가
- 성공하는 교육 혁신의 8가지 비밀
3. 애너하임이 한국 교육에 주는 교훈
- 성과와 한계를 넘어
- 지금, 우리가 실천해야 할 것들
- 새로운 교육 문명은 어떻게 시작되는가
- 시스템을 바꾸는 개인의 힘
제3부. 교육 개혁은 왜 실패했는가: 30년의 성찰과 전환의 필요성
1. 5.31 교육 개혁 30년의 명암 - 왜 다시 교육 개혁을 말하는가
- 5.31 교육 개혁은 무엇이었는가
- 철학과 핵심 방향
- 5.31 교육 개혁 30년, 성과와 한계
- 세상은 바뀌었는데, 교육은 왜 그대로인가
- 개혁의 유산과 우리가 배워야 할 교훈
2. 우리 교육이 마주한 5대 구조적 도전 - 익숙한 위기, 낯선 관점에서 다시 보기
- 입시 체제의 자기강화와 교육 본질의 왜곡
- 뒤바뀐 중심축, 커지는 사교육 의존
- 교사 소진과 교육 전문성 약화
- 학생의 마음 건강과 학습 동기 저하
- 인구 급감과 학교 생태계의 붕괴
- 결론
3. 패러다임 전환의 길 - 교육을 다시 설계해야 하는 이유
- 교육 개혁의 실패 이유
-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 교육 개혁을 가로막는 31가지 오해와 속설
제4부. 교육의 판을 다시 짜다: 교육 대전환 2035를 향한 실천 전략
1. 시나리오 분석을 위한 접근 - 시나리오 구성을 위한 핵심 변수와 분석 틀
- 시나리오 분석의 목적과 방법
- 시나리오별 실현 가능성 개관
2. 2035~2045년 한국 학교교육 시나리오 3가지
- 시나리오1: 시험 공화국
- 시나리오2: 균형 교육 생태계
- 시나리오3: 생태적 학습 네트워크
- 미래교육을 위한 전략적 과제
3. 미래교육의 나침반 - 2035~2045년 비전과 전략 방향
- 어디로 가야 하는가
- 어떻게 실행할 것인가
4. 함께 설계하는 미래교육 - 시민설명회
- 교육 대전환, 왜 지금인가
- 주체별 역할과 실천 방안
- 시민들의 질문에 답하다
- 2035~2045년, 우리가 만들어낸 미래교육
후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