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부. 콘텐츠의 판이 바뀌다
1. 액체 미디어 시대의 도래와 주목의 이동
2. 콘텐츠 IP, 무엇인가? - 권리, 브랜드, 파이프라인
3. IP의 법적 토대: 저작권과 상표권
4. 작품, 콘텐츠, IP는 어떻게 다른가
5. IP는 어떻게 기존의 OSMU와 달라졌는가
6. 콘텐츠의 서비스화: 끝나지 않는 이야기의 시작
2부. IP의 출발점, 경험
7. 경험은 어떻게 IP 자산이 되는가
8. 좋은 경험의 조건: ‘원천 경험’을 찾아서
9. 경험의 확장: 굿즈와 오프라인 공간의 역할
10. 체험과 경험의 차이
3부. IP 가치의 근원, 팬덤
11. 디깅 모멘텀: IP는 어떻게 시대정신이 되었나
12. 팬덤이란 무엇인가: 능동적 수용자에서 생산적 수행자로
13. 팬덤의 성장 동력, 하위문화자본과 기여의 욕망
14. 팬덤을 위한 ‘놀이터’ 설계하기
4부. IP 비즈니스 실행 전략
15. IP 전략의 시작: 확보와 매니지먼트
16. 콘텐츠 IP의 재료들: 무엇을 쪼개고 활용할 것인가
17. ‘토템’으로서의 IP: 팬덤의 정체성을 담는 상징
18. 캐릭터는 어떻게 페르소나를 얻는가
19. 휴먼 IP와 캐릭터 IP
20. 체험 중심 IP 확장의 어려움과 해법
21. 스몰 IP는 어떻게 성장하는가: 린 스타트업 전략
22. 수익 모델 탐구: 가치는 연결에서 나온다
23. IP 비즈니스, 실패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5부. 지속 가능한 IP 생태계
24. 한국형 IP 생태계의 과제와 가능성
25. IP 가치의 방정식: 규모 × 강도 × 시간
26. 팬덤의 지형학: 세대, 국가별 차이 읽기의 전략
27. 좋은 파트너를 만나는 법
28. 콘텐츠 마케터의 새로운 역할
29. 지속 가능한 생태계를 위하여
30. 콘텐츠 비즈니스 현장의 질문들
정리. 콘텐츠 기업이 꼭 갖춰야 할 7가지 습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