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제1장 북한 주민의 조직생활과 일상: 생애주기별 근로단체 활동을 중심으로 / 권혜진
1. 북한 주민의 삶, 조직 속에 묶이다
2. 일상화된 통제, 북한의 권력 기술
3. 북한 근로단체와 생애주기별 통제
4. 조직이라는 일상의 감옥
제2장 북한의 민생경제 현황과 핵문제 해결 이후 변화 가능성 검토 / 김미연
1. 북한 주민들의 삶은 나아질 수 있을까
2. 김정은 시대 북한의 민생경제 현황 엿보기
3. 중국이 경험한 민영경제 발전 사례의 교훈
4. 북한의 민생경제 변화 가능성과 도전 과제
제3장 북한 체제에서 사회안전성의 역할과 반사·비사 투쟁법 제정이 주는 의미 / 김엘렌
1. 북한의 일상인 ‘통제’에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
2. 북한 인권 침해의 기능적 역할
3. 반사회주의, 비사회주의에 대한 내용과 법적 제도화의 의미
4. 법시스템의 제도화가 주는 함의
제4장 명령하지 않는 시장: 북한의 비공식 기업과 군사문화 / 서수정
1. 북한 사회를 지배하는 군사문화
2. 북한 군사문화의 형성 과정과 원인
3. 비공식 기업의 조직구조와 군사문화 수용 가능성
4. 실증 분석: 수용되지 않는 군사문화
5. 북한 군사문화의 한계와 시사점
제5장 북한 주민의 일상 속 감정 세계: 사상감정 경험을 중심으로 / 안종숙
1. 이해하기 힘든 한국 사람의 복잡한 감정 세계
2. 권력의 통제 대상이 되는 감정
3. 북한의 사상감정과 사상교양: 요람에서 무덤까지 이어지는 감정 교
4. 북한 주민의 감정 세계: 사적 감정의 미분화와 탈구
5. 다시 감정을 배우다
제6장 북한주민의 일상생활과 영어 리포트 / 이경애
1.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 영어교육의 변화 지속성
2. 북한영어 교육 상황
3. 북한의 디지털 영어교육 현황
4. 북한 영어교육의 개선점
5. 북한 영어교육의 양면성
6. 사회주의 체제 영어교육의 딜레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