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제1강 글쓰기의 가벼움
1. 무엇을 어떻게 쓰라는 거지? / 14
1) 글쓰기의 미러링 효과 / 16
2) 글쓰기의 심리치료 효과 / 17
2. 글쓰기의 시작 / 19
1) 나의 글쓰기는 현재 어떨까? / 19
2) 단문 - 명화 서평 쓰기 / 20
3. 스토리텔링이란 이런 것 / 27
4. 플랫폼을 통한 글쓰기와 1인 출판의 실재 / 29
1) 플랫폼을 통한 글쓰기의 실재 - 황민서 / 29
2) 1인 출판 기획 과정의 실재 - 황민서 / 32
제2강 이미지와 상징 단상 쓰기
1. 단상이 무엇일까? / 36
2. 이미지와 비유, 상징의 사용법 / 38
1) 문학 속에서 찾는 이미지와 비유, 상징 / 39
2) 대중매체와 이미지, 비유, 상징의 연관성 / 41
3. 단상의 실재 / 43
1) 이미지와 상징으로 단상 쓰기 / 43
2) 대중가요 가사로 단상 쓰기 / 50
3) 수필로 단상 쓰기 / 58
4) 퇴고의 실재 / 90
5) 시로 단상 쓰기 / 100
제3강 아는 만큼 보인다 - 상징분석 레시피
1. 문학적 상징의 연관성 / 110
1) 대표적 오브제 활용법 / 111
2) 색채의 상징 / 112
3) 숫자의 상징 / 113
4) 시·공간의 상징 / 116
5) 그림과 음악의 상징 / 119
2. 상징이 활용된 대중매체의 실재 / 127
1) 드라마 - 노희경 작가의 ‘괜찮아 사랑이야’/ 127
2) 영화 - 봉준호 감독의 ‘설국열차’ / 131
제4강 광고 서평 쓰기
1. 광고는 공감의 예술 / 136
1) 영상광고의 설득력은 어디까지일까? / 136
2. 이야기를 지닌 광고 / 138
1) 스토리텔링의 중요성 / 138
3. 기업의 가치와 이미지 / 143
제5강 단편소설 분석하기
1. 소설은 이미지와 상징의 집대성 / 146
1) 단편소설 읽기 / 147
① 서영은 작가 〈먼 그대〉
② 오정희 작가 〈비어있는 들〉
2. 문학 작품을 읽는 방법 / 161
1) 현대소설 분석의 관점 / 161
2) 내재적 관점으로 상징 분석하기 / 162
3) 외재적 관점으로 상징 분석하기 / 162
3. 단편소설 서평 쓰기 / 163
4. 토론 - 공적 대화의 중요성 / 164
제6강 단편영화 서평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1. 영화 속 오브제 분석하기 / 168
1) 영화 속 이미지, 비유, 상징의 실재 / 169
2) 영화 속 시퀀스 찾기 / 174
3) 영상매체의 스토리텔링 구조 / 175
2. 개성 있는 PPT의 활용법 / 176
1) 효과적인 PPT 작성법 / 176
3. 5분 스피치 - 공적 대화는 이렇게 말한다 / 181
참고문헌 / 184
부록 _ 어휘력 향상을 위한 꼭 읽어야 할 세계문학 필독서 목록 / 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