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조직과 기업
1. 조직의 개념 4
2. 조직의 종류 5
3. 기업 6
3.1 기업의 역할 6
3.2 기업의 형태 7
3.3 기업의 탄생 배경 7
3.4 기업 목적의 다양성 8
4. 기업의 역사 9
4.1 어원 9
4.2 주식회사의 역사 10
4.3 기업의 사회적 지위 10
5. 현대의 기업 11
5.1 디지털화와 4차(AI) 산업혁명 11
6. 경영과 경영학 13
6.1 경영 13
6.2 경영자 15
6.3 경영학 19
제2장 기업의 가치와 환경
1. 기업의 가치 28
1.1 기업의 경제적 가치: 이윤과 주가 28
1.2 기업의 이윤 29
1.3 손익계산서 예시 30
1.4 주가: 현금흐름할인모형 31
1.5 기업의 사회적 가치 33
2. 기업의 자연환경 34
2.1 제품과 자연환경 34
2.2 생산과정과 자연환경 36
3. 기업의 사회환경 38
3.1 기업의 사회환경 38
3.2 정치, 경제, 사회의 상호작용 39
3.3 정부, 기업, 사회의 관계 39
3.4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40
3.5 기업의 사회적 역할 논쟁(미국) 41
4. 이해관계자 42
4.1 이해관계자 개념과 중요성 42
4.2 주요 이해관계자 44
4.3 이해관계자 중심 경영 44
4.4 프리맨의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원칙 45
제3장 기업의 윤리와 책임
1. 기업윤리 50
1.1 윤리의 정의 50
1.2 윤리의 내용과 유형 51
1.3 윤리와 유사개념: 도덕, 법 52
2. 규범윤리(윤리 원칙) 54
2.1 공리주의 54
2.2 의무론 또는 권리론 56
2.3 정의론 56
2.4 돌봄론 59
2.5 덕목론 60
3. 기업윤리 61
3.1 개념 61
3.2 윤리경영의 필요성 61
4. 기업 책임 63
4.1 책임의 개념 63
4.2 책임의 종류 64
4.3 기업 사회책임의 개념 66
4.4 기업 책임의 확대 67
4.5 기업책임론의 진화 70
제4장 세계화와 기업: 기회, 위협, 책임의 증가
1. 세계화 76
1.1 개념 76
1.2 국가의 다양성 77
1.3 세계화 현상과 배경 78
1.4 세계화의 측정 78
1.5 세계화의 의미와 영향 79
2. 기업의 세계화 80
2.1 기회 측면 80
2.2 위협 측면 81
2.3 책임 측면 87
제5장 환경책임과 지속경영
1. 환경의 중요성 92
1.1 환경과 인간 92
1.2 환경문제의 유형 93
1.3 환경문제에 대한 지구촌의 관심 104
2. 환경문제와 기업의 책임 109
2.1 인과관계 책임 110
2.2 손해배상 책임 110
2.3 역량 책임 110
2.4 역할 책임 111
3. 지속가능 경영 113
3.1 지속가능성의 의미 113
3.2 지속 경영의 사례 115
제6장 사회책임과 CSR 경영
1. 사회책임 122
1.1 사회의 의미 122
1.2 책임의 성격 구분 123
1.3 기업의 사회책임의 범주 123
1.4 CSR 경영(사회책임 경영) 예시 124
2. CSR 개념의 역사적 발전 128
2.1 유럽: 사회적 연대와 제도중심의 CSR 128
2.2 미국: 시장중심의 자율적 CSR 129
2.3 아시아: 종교문화 영향과 정부주도형 129
3. CSR 경영과 CSV 경영 130
3.1 CSR 경영 130
3.2 CSV 경영 132
4. 인권과 인권경영 134
4.1 인권개념 134
5. 기업의 주요 이해관계자에 대한 책임 136
5.1 소비자 책임 136
5.2 근로자 책임 137
5.3 협력업체 책임 139
5.4 지역사회 책임 141
5.5 기업의 사회적책임 활동 사례 143
6. 사회적 기업 144
6.1 개념 144
6.2 사회적 기업의 정의 144
6.3 사회적 기업의 주요 특징 145
6.4 사회적 기업 vs 일반 기업 vs 비영리단체 145
6.5 사회적 기업의 유형(한국 기준) 145
6.6 사회적 기업의 사례 146
제7장 경제책임과 지배구조
1. 경제책임의 개념 152
1.1 본질적 경제책임 153
1.2 부수적 경제책임 → 사회책임으로의 전이 154
1.3 주주 155
2. 투자자에 대한 보상 책임 158
2.1 이윤 158
2.2 주가 159
3. 지속가능성 책임 161
3.1 전략리스크 161
3.2 운영리스크 161
3.3 재무리스크 161
3.4 기타 리스크 162
4. 지배구조 163
4.1 지배구조의 개념 163
4.2 지배구조의 중요성 164
4.3 지배구조 원칙 168
4.4 지배구조효과에 대한 기존 연구 결과 171
5. ESG 경영 172
5.1 개념 172
5.2 이해관계자 중심 경영과 주주 중심 경영 175
5.3 지배구조 강화를 위한 기업 활동 사례 176
5.4 ESG 경영 사례 176
제8장 세계의 윤리문화
1. 국가별 문화의 다양성 182
1.1 개관 182
1.2 문화차원과 국제문화 비교연구 183
1.3 주요국의 문화적 특성 184
1.4 윤리문화의 지역별 차이 186
2. 유럽의 윤리문화 186
2.1 역사적·사상적 배경 184
2.2 핵심 윤리 가치 187
2.3 국가별 차이 187
2.4 유럽의 윤리문제 사례: 폭스바겐 스캔들 188
3. 미국의 윤리문화 189
3.1 배경 189
3.2 핵심 윤리 가치 189
3.3 미국의 현대적 윤리문화와 공시주의 190
3.4 미국의 윤리문제 사례 191
3.5 유럽과 미국의 윤리문화 비교 192
4. 중국의 윤리문화 195
4.1 역사적·사상적 배경 195
4.2 핵심 윤리 가치 196
5. 일본의 윤리문화 198
5.1 역사적·사상적 배경 198
5.2 핵심 윤리 가치 198
5.3 오늘날의 윤리문화 199
6. 한국의 윤리문화 200
6.1 역사적·사상적 배경 201
6.2 핵심 윤리 가치 201
제9장 국제개발협력과 UN
1. 국제개발협력 209
1.1 국제개발협력의 개념 209
1.2 세계의 빈곤 211
2. 공적개발원조 214
2.1 정의 214
2.2 ODA의 지원형태 217
2.3 ODA의 목적(공여국 입장) 217
3. UN과 국제개발협력 219
3.1 의의 219
3.2 빈곤 퇴치와 국제개발협력 221
3.3 ODA(공적개발원조) 221
3.4 SDGs(지속가능발전목표) 221
4. UN의 기업 책임 활동 225
4.1 UN 글로벌 컴팩트 225
4.2 책임투자원칙 226
4.3 책임경영교육원칙 226
제10장 OECD, ISO 등의 기업책임규범
1. OECD 다국적기업 가이드라인 230
1.1 OECD 231
1.2 OECD 다국적기업 가이드라인의 성격 232
1.3 가이드라인의 구성항목 233
1.4 가이드라인의 변화과정 238
1.5 듀 딜리전스 239
1.6 OECD NCP 240
2. ISO 26000 241
2.1 ISO 241
2.2 ISO 26000 241
3. UNGP 243
4. IFC Performance Standards(국제금융공사 성과 기준) 244
제11장 ESG 보고와 공시
1. ESG 보고·공시의 개념 251
1.1 의의 251
1.2 보고·공시의 목적 251
1.3 보고·공시의 분류 252
2. 중대성: 공시 내용 및 범위의 결정기준 253
2.1 개념 253
2.2 중대성의 분류 254
2.3 중대성의 효과성(연구) 256
3. 글로벌 ESG 보고·공시 기준 257
3.1 GRI 기준 257
3.2 ESRS 260
3.3 ISSB 262
3.4 SASB 기준 263
3.5 주요 글로벌 공시기준의 비교 264
3.6 TCFD 가이드라인 269
3.7 CDP 270
3.8 공시기준 활용 현황 271
4. 국내 기준 273
4.1 제정 배경과 특징 273
4.2 공시항목 274
제12장 ESG 평가(Rating)
1. 평가의 개념 279
1.1 평가의 정의 279
1.2 평가의 분류 280
1.3 ESG 평가의 필요성과 중요성 280
1.4 ESG 평가등급의 용도 281
1.5 ESG 평가의 절차와 구조 282
1.6 신용평가와 ESG 평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283
1.7 ESG 평가의 영향과 문제점 283
2. 세계의 주요 ESG 평가 기준(기관) 285
2.1 세계 ESG 평가 역사 285
2.2 MSCI의 ESG 평가 286
2.3 Moody’s의 ESG 평가 288
3. 국내 주요 ESG 평가기관 291
3.1 개관 291
3.2 한국ESG기준원 291
3.3 서스틴베스트 292
4. ESG 등급평가의 주요 속성 297
4.1 평가의 진행: 정보 수요자 중심 297
4.2 비공식적·사적 평가기관 297
4.3 데이터 기반의 독립적 평가 297
4.4 시장 메커니즘에 따라 경쟁 297
4.5 규제 대상이 아님(현재까지 대부분 비규제 영역) 298
4.6 평가주권 문제 존재 298
제13장 ESG 금융(투자)
1. 금융(투자)의 개념 302
1.1 금융의 역할과 중요성 302
1.2 금융업의 분류 304
1.3 금융업의 특징 305
1.4 금융업의 역사와 윤리 306
1.5 세계 3대 연기금과 자산운용사 307
2. ESG 금융(투자) 308
2.1 ESG 금융(투자)의 개념 308
2.2 ESG 투자의 주요 고려 사항 309
2.3 임팩트 측정 방법 311
2.4 국내외 ESG 투자 동향 312
2.5 녹색 금융과 전환 금융 313
2.6 ESG 투자의 성과 평가 315
2.7 임팩트 투자 사례 319
제14장 ESG (전략)경영
1. 경영전략의 개념 326
1.1 전략 326
1.2 경영전략 327
1.3 경영전략의 수립 과정 328
2. ESG 경영전략 329
2.1 정의 329
2.2 ESG 경영전략 수립의 단계 330
2.3 ESG 경영전략의 실행과 점검 331
3. ESG 전략경영 세부 절차 332
3.1 1단계: 조직특성(업종, 정체성, 목적) 확인 332
3.2 2단계: 경영전략 검토 및 실행조직 구성 333
3.3 3단계: ESG전략 수립조직 구성 333
3.4 4단계: 외부환경 분석 333
3.5 5단계 내부분석과 책임경쟁우위 설정 334
3.6 6단계 ESG 실행전략의 수립 334
3.7 7단계 ESG 실행전략의 실행, 점검, 통제 335
4. ESG 경영 각 부문 335
4.1 운영 측면 335
4.2 생산과 공급망 관리 336
4.3 마케팅 관리 336
4.4 재무 및 투자 측면 337
4.5 인사 관리 338
4.6 회계와 공시 338
4.7 리스크 관리 339
찾아보기 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