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제1부 글쓰기 수업의 설계와 실천
제1장 대학 글쓰기 수업에서 실용성과 자기표현의 융합
1. 변화하는 대학 교육 환경과 글쓰기 수업의 필요성
2. 글쓰기 수업의 실제 운영 사례
3. 각 과제별 사례 분석과 피드백 양상
4. 논리적 사고력과 자기표현 능력의 기반 확립
5. 대학 글쓰기 수업 운영의 성찰과 교수학습 개선 방향
제2장 실용 글쓰기 교육과 자기소개서 쓰기의 실제
1. 대학에서 자기소개서 쓰기 교육의 실천 맥락
2. 학생들의 자기소개서 연구 설계 및 절차
3. 수업 진행 및 교수학습 설계
4. 대학생 자기소개서 쓰기의 실제 양상
5. 자기소개서 쓰기 교육의 개선 방향
제3장 문학 글쓰기를 통한 자아 성찰과 내면 성장
1. 문학 글쓰기를 통한 자아 탐색 교육의 의의와 연구 배경
2. 연구 설계와 분석 방법
3. 문학 글쓰기 수행의 통계적 분석
4. 글쓰기 수행 과제의 정서적 반응 양상
5. 문학 글쓰기를 통한 정서 치유와 자아 성장의 교육적 함의
제4장 회복탄력성을 위한 문학 글쓰기: 대학 글쓰기 교육의 새로운 방향
1. 회복탄력성의 개념과 심리학적 배경
2. 청소년기 문학 수용의 특성과 교육적 함의
3. ≪소희의 방≫의 서사 구조와 인물 분석
4. 문학적 정서 교육의 구성 요소
5. 회복탄력성을 위한 문학 교수・학습의 설계
6. 수업 실행: 문학적 글쓰기 활동의 실제
7. 문학 기반 회복탄력성 교육의 의미와 전망
제2부 가치 성찰과 공동체 감수성의 확장을 위한 문학교육
제1장 교육연극을 활용한 소설교육의 실천
1. 교육연극과 소설교육의 접점
2. 텍스트 선정의 기준과 이문구의 ≪우리 동네≫
3. 교육연극의 이론적 토대와 교육연극의 기법
4. 교육연극 기반 소설 수업의 모형과 단계
5. 인물 중심 소설수업의 실천
6. 교육연극과 소설교육의 의의
제2장 손창섭 소설을 통한 공감교육의 실천
1. 문학의 윤리적 전환: 공감 교육의 의미
2. 〈비 오는 날〉의 초점화자를 통한 동정과 연민의 기제 양상
3. 〈생활적〉의 인물시각적 서술과 사랑의 공감
4. 공감교육의 학습 내용 구성
5. 공감 서사의 문학교육적 전망
제3장 김승옥 소설을 통한 가치교육의 실제
1. 김승옥 소설과 문학교육적 접근
2. 가치 내면화를 위한 교수학습 전략
3. 〈역사(力士)〉에 나타난 가치분석의 교수 전략
4. 〈역사(力士)〉의 가치선택 갈등의 분석
5. 〈서울 1964년 겨울〉에 나타난 가치추론과 자아성찰
6. 김승옥 소설을 통한 가치교육의 실천과 과제
제4장 이주 배경 성장 서사를 통한 도덕교육의 가능성: ≪이슬람 정육점≫을 통한 문학 기반 도덕교육의 실제
1. 문학에서 도덕교육의 가능성
2. ≪이슬람 정육점≫에 나타난 도덕성 요소의 방법과 전략
3. ≪이슬람 정육점≫의 도덕적 문제 해결의 절차
4. 이주배경 성장소설을 통한 도덕성 교육의 문학교육적 접근
제5장 애니메이션 수용을 통한 의미 형성과 정체성 탐색: 〈천년여우 여우비〉 수용자 반응 분석을 중심으로
1. 서사 기반 텍스트로서의 애니메이션 활용
2. 수업 사례를 통한 수용자 반응 분석
3. 〈천년여우 여우비〉를 활용한 수업과 과제 설계
4. 수용자 반응의 통계적 분석 결과: 텍스트의 등장인물 해석에 대한 수용자 인식
5. 수용자 감상 반응의 결과
6. 수용자 중심 서사 교육과 대학 글쓰기 수업의 융합
제3부 발표・토론 수업의 실천과 교육적 확장
제1장 대학 교양수업에서의 발표교육 설계와 실행
1. 발표 교육의 필요성과 Glaser 모형 기반 수업 설계
2. 발표 수업의 설계와 실행 양상
3. 수업 전 발표에 대한 학습자 인식
4. 수업 후 발표에 대한 학습자 반응
5. 학생 서술형 응답의 질적 내용 분석: 연구 및 개발 전략, 심층 인터뷰 조사 연구
6. 발표 활동의 결과에 대한 요약 및 교육적 시사점
제2장 발표와 토론 수업의 실제와 교수・학습의 확장 가능성
1. 발표・토론 교육의 필요성과 핵심 역량의 확장
2. 토론 수업의 실제: 준비, 실행, 평가의 전 과정 분석
3. 개인 발표 활동: 표현의 확장과 자율성 중심의 설계
4. 실용적 목적의 확장적 실천 사례: 창업 계획서, 자기소개하기
5. 수업 전후 설문조사를 통한 변화 분석
6. 실천적 화법 교육의 미래를 향하여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