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더 자극적인 것, 더 놀라운 것에 미치는 도파민을 길들이는 중입니다.
책을 읽기 전에
Chapter 1. 우리는 왜 자꾸 사랑하고 중독될까
● 끊임없이 ‘더, 더, 더’를 갈구하는 쾌락 분자
● ‘해보니 별 거 없네….’
● 도파민의 질주가 멈출 때 사랑은 식는가?
● 구남친과 슬롯머신의 공통점
● 불타는 로맨스에서 동반자적 사랑으로
● 섹스는 사랑의 축소판이자 호르몬 전쟁
Chapter 2. 인간은 어떻게 스스로를 파괴하는가
● 배가 고프지 않아도 햄버거를 먹는 이유
● 매력을 느낀 순간 무조건 반응하는 의욕의 기전
● 간절히 원하게 만드는 힘
● ‘욕망’을 취사선택해 ‘애호’로 발전시키려면
● 주말의 맥주 한 캔이 매일 마시는 보드카 한 병으로
● 뇌에 더 빠르게 도착할수록 더 강하게 중독된다
● ‘즐거움’은 ‘욕망’과 달리 훨씬 드물고 짧아서
● 욕망의 수호자가 이성적 사고를 압도할 때
● 파킨슨병을 치료하려다 도박에 빠진 남자
● 포르노에 더 쉽게 중독되는 사람
● 온갖 보상의 보물창고, 온라인 게임
● TV를 켜는 것도, 끄는 것도 모두 도파민이다
Chapter 3. 파멸하거나 진화하거나, 중독되거나 성취하거나
● 욕망 회로의 폭주를 막는 통제 회로
● 끈기와 의지력을 좌우하는 것
● 지배가 복종을, 복종이 지배를 불러온다
● 대리자 관계인가, 친교 관계인가
● 우주 영웅으로 살 수밖에 없었던 남자
● 충동 성향과 체중의 연관성
● 승리에 도취된 사람들의 말로
● 차가운 폭력과 뜨거운 폭력
● 살아야 한다, 그러자면 생각해야 한다
● 감정 조절 능력을 좌우하는 도파민 수용체
● 의지력도 지갑 속의 돈처럼 쓰면 사라진다
● “넌 할 수 있어!” 격려보다 용돈이 효과적이다
● 모성애는 어떻게 금단 현상을 극복할까?
Chapter 4. 창조자는 천재 아니면 미치광이
● 최악의 결과와 최선의 결과
● 뇌 회로가 합선되면 나타나는 현상들
● 오감이 미치지 않는 ‘정신의 시간 여행’
● 잘못된 가정이 정신 질환의 불씨로
● 조현병 환자와 예술가의 공통점
● 꿈은 정신 질환과 크게 다르지 않다
● 노벨상 수상자들이 그림도 잘 그리는 이유
● 멈추지 않는 도파민형 인간들
Chapter 5. 진보주의자와 보수주의자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14년 뒤의 고백
● 정치적 성향에 따른 IQ 차이
● 도파민형 인간은 기부하지 않는가?
● 익숙함은 지루함인가, 안정감인가?
● 신경과학이 알려주는 설득의 기술
● 불평등을 응징하는 도파민형 사고방식
● 이민자 추방과 봉사활동의 아이러니
● 간단한 실험으로 정치적 성향도 바뀐다
● 힘이 아닌 아이디어로 통제하는 것이 정치다
Chapter 6. 무엇이 인류를 진화하고 번영하게 만들었나
● 모험가 유전자의 힘으로 더 멀리 떠나온 무리
● 생존하는 적자는 무엇이 달랐나?
● 똘똘한 사람일수록 도파민이 일으키는 정신 질환에 취약하다
● 도파민이 폭발하는 이민자들의 나라
● 도파민 부자들, 도파민으로 멸망할까?
Chapter 7. 미래지향과 현재지향을 조화시키다
● 통달의 경지에서 오는 즐거움
● 예측하지 못한 발견에 흥분하는 강력한 자극제
● 행복한 미래를 상상하는 것의 대가
에필로그. 인간이 다른 동물과 다른 점
감사의 글
참고문헌